위키피디아 데이터 활용에 대한 포스팅 #1
디비피디아 데이터의 출생지인 위키피디아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 보겠습니다. 오늘은 그 첫 칼럼인 “**위키피디아, 왜? 어디에, 무엇때문에 쓰는데**?” 라는 제목으로 써볼까 합니다. 이 질문은 실제로 디비피디아에서도 함께 거론되는 문제입니다. 이 글은 적 관점에서 쓰는 컬럼이니 다른 … Continue reading
디비피디아 데이터의 출생지인 위키피디아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 보겠습니다. 오늘은 그 첫 칼럼인 “**위키피디아, 왜? 어디에, 무엇때문에 쓰는데**?” 라는 제목으로 써볼까 합니다. 이 질문은 실제로 디비피디아에서도 함께 거론되는 문제입니다. 이 글은 적 관점에서 쓰는 컬럼이니 다른 … Continue reading
디비피디아는 위키피디아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입니다. 따라서 디비피디아를 사용하지 않고 위키피디아 만으로 처리 할 수있는 일이 많이 있습니다. 이 포스트는 과연 위키피디아 데이터를 어떻게 구하고 사용할까? 라는 주제로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이 글은 주관적인 생각이 첨부 되어 … Continue reading
디비피디아 활용에 관한 포스팅 이다. 디비피디아는 위키피디아로부터 구조화된 정보를 추출한 데이터 저장소 이다. 따라서, 위키피디아의 데이터를 상당 부분 포함하고 있다. 전 포스터에서 살펴본 위키피디아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 순서 없는 목록위키피디아엔 사전보다 많은 정보가 들어 있다. … Continue reading
한국어 디비피다아 Sparql은 아래 URL로 접근 가능하다. http://ko.dbpedia.org/sparql 1. 한국어 Sparql 활용 예제 1 장소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는 아티클 100개를 가져온다. select * where { ?s <http://ko.dbpedia.org/property/장소> ?o } LIMIT 100 2. 한국어 Sparql 활용 …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