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 Here Now》는 1997년 5월에 발매된 영국 록 밴드 오아시스의 3집 정규음반이다. 오아시스의 전작인 《Definitely Maybe》(1994년)와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1995년)의 전 세계적인 성공으로 인해 이 음반은 엄청난 기대를 받으며 과대광고되었다.《Be Here Now》가 영국에서 발매될 당시 오아시스는 인기의 최절정 상태에 있었고, 그로 인해 이 음반은 발매 첫날 35만 장, 발매 첫 주에 69만 6천 장, 발매 두 주 만에 100만 장 이상이 팔리며 영국 역사상 단기간에 가장 많이 판매된 음반이 되었다. 《Be Here Now》는 미국 발매 첫 주 만에 15만 2천 장 이상이 팔리며 차트 2위에 올랐고, 전 세계적으로는 8백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Be Here Now》는 상업적으로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발매 전 증폭됐던 엄청난 기대에 부응하지는 못했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Work/runtime
| |
dbpedia-owl:abstract
|
- 《Be Here Now》는 1997년 5월에 발매된 영국 록 밴드 오아시스의 3집 정규음반이다. 오아시스의 전작인 《Definitely Maybe》(1994년)와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1995년)의 전 세계적인 성공으로 인해 이 음반은 엄청난 기대를 받으며 과대광고되었다.《Be Here Now》가 영국에서 발매될 당시 오아시스는 인기의 최절정 상태에 있었고, 그로 인해 이 음반은 발매 첫날 35만 장, 발매 첫 주에 69만 6천 장, 발매 두 주 만에 100만 장 이상이 팔리며 영국 역사상 단기간에 가장 많이 판매된 음반이 되었다. 《Be Here Now》는 미국 발매 첫 주 만에 15만 2천 장 이상이 팔리며 차트 2위에 올랐고, 전 세계적으로는 8백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Be Here Now》는 상업적으로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발매 전 증폭됐던 엄청난 기대에 부응하지는 못했다. 이 음반은 살짝 "애시드한" 기타 이펙트와 함께, 지나친 형식파괴와 과장된 사운드로 비판을 받았다. 이제 와서 돌이켜보건대 그 어떤 음반도 당시의 어마어마했던 기대와 난리법석을 충족시키진 못했을 거라는 점에서, 이 음반이 받았던 혹평은 지나친 감이 있다.프로듀서인 오웬 모리스(Owen Morris)는 당시 녹음과정에 대해서 "그 때 녹음에 참가한 이들은 모두 돈때문에 일을 했다. 노엘은 리암이 형편없는 보컬이라고 생각했고, 리암은 노엘의 곡을 싫어했다. 계속 그런 식이었다. 엄청난 양의 마약에, 큰 싸움에, 분위기도 나빴고 녹음은 최악이었다"고 평했다. 오아시스의 작곡가인 노엘 갤러거는 스스로 이 음반을 혹평해 왔고, 2006년에 발매된 베스트 앨범 《Stop the Clocks》에는 이 음반의 곡이 단 한 곡도 실리지 않았다.
|
dbpedia-owl:artist
| |
dbpedia-owl:genre
| |
dbpedia-owl:previousWork
| |
dbpedia-owl:producer
| |
dbpedia-owl:recordedIn
| |
dbpedia-owl:review
|
- http://www.rollingstone.com/reviews/cd/review.asp?aid=48950&cf34
- http://www.allmusic.com/cg/amg.dll?p=amg&sql=Aih9ss32ia3mg
- http://www.q4music.com/nav?page=q4music.artist.review&fixture_review=117421&fixture_artist=141592
|
dbpedia-owl:runtime
| |
dbpedia-owl:subsequentWork
| |
dbpedia-owl:wikiPageExternalLink
|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10379 (xsd:integer)
- 10381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86 (xsd:integer)
- 87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0824976 (xsd:integer)
- 13664730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가수명
| |
prop-ko:길이
| |
prop-ko:녹음
|
- 1996 (xsd:integer)
- Abbey Road Studios
- Air Studios
- Master Rock
- Orinoco Studios
- Ridge Farm
|
prop-ko:발매년월일
| |
prop-ko:배경색
| |
prop-ko:유통사
| |
prop-ko:음반명
| |
prop-ko:음반종류
| |
prop-ko:장르
| |
prop-ko:전앨범
| |
prop-ko:전앨범발매
| |
prop-ko:평가
|
- *올 뮤직 가이드 링크
*《Q》 2000년 10월
*《롤링 스톤》 링크
|
prop-ko:프로듀서
| |
prop-ko:후앨범
| |
prop-ko:후앨범발매
| |
dcterms:subject
| |
rdf:type
| |
rdfs:comment
|
- 《Be Here Now》는 1997년 5월에 발매된 영국 록 밴드 오아시스의 3집 정규음반이다. 오아시스의 전작인 《Definitely Maybe》(1994년)와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1995년)의 전 세계적인 성공으로 인해 이 음반은 엄청난 기대를 받으며 과대광고되었다.《Be Here Now》가 영국에서 발매될 당시 오아시스는 인기의 최절정 상태에 있었고, 그로 인해 이 음반은 발매 첫날 35만 장, 발매 첫 주에 69만 6천 장, 발매 두 주 만에 100만 장 이상이 팔리며 영국 역사상 단기간에 가장 많이 판매된 음반이 되었다. 《Be Here Now》는 미국 발매 첫 주 만에 15만 2천 장 이상이 팔리며 차트 2위에 올랐고, 전 세계적으로는 8백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Be Here Now》는 상업적으로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발매 전 증폭됐던 엄청난 기대에 부응하지는 못했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foaf:name
| |
is dbpedia-owl:album
of | |
is dbpedia-owl:previousWork
of | |
is dbpedia-owl:subsequentWork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prop-ko:전앨범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