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하게 정렬된 f 오비탈은 피(φ) 결합을 생성할 수 있다.피(φ) 결합의 경계면화학에서, 피 결합(φ bond)은 공유 결합중의 하나로, 하나의 전자 오비탈의 여섯 개의 돌출부(lobe)와 다른 전자 오비탈의 여섯 개의 돌출부가 겹치는 곳에 형성된다. 오비탈의 노드 평면 중의 두 개(또는 그 이상)는 두 원자쪽 방향을 지나간다. 피 결합의 오비탈의 대칭성은 보통의 f 오비탈의 6-돌출부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리스 문자 φ는 f 오비탈을 뜻한다.충분히 큰 원자에는 점유된 f 오비탈의 에너지가 충분히 낮아서, 화학 결합에 참여할 수 있다. 피 결합은 우라늄분자에서 확인이 되었다.이론 화학자들은 8주기이상 g-구역원소들은 g 오비탈에 대응하는 감마 결합(γ) 도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Property | Value |
---|---|
dbpedia-owl:abstract |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dcterms:subject | |
rdfs:comment |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