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edia-owl:abstract
|
- 프로이센(독일어: Preußen, 영어: Prussia 프러시아[*], 고대 프로이센어: Prūsa, 폴란드어: Prusy, 언어 오류(lt): Prūsai, 라틴어: Borussia, Prutenia)이란 지명은 이 지역에서 중세 초부터 살기 시작한 발트어계 프로이센인에서 유래했다.프로이센은 1947년까지 독일 북부에 있었던 주로서 1918년까지는 베를린을 수도로 한 호엔촐레른 가의 왕국이었다. 발트족의 일파인 프루사(고대 프로이센어: Prūsa)에서 이름을 땄다. 한국에서는 흔히 영어식 발음을 따서 프러시아라고 읽기도 한다. 과거에는 한자 표기로 보로사(普魯士) 또는 보로서(普魯西)라 하기도 했다.
- 프로이센(독일어: Preußen, 영어: Prussia 프러시아[*], 고대 프로이센어: Prūsa, 폴란드어: Prusy, 언어 오류(lt): Prūsai, 라틴어: Borussia, Prutenia)이란 지명은 이 지역에서 중세 초부터 살기 시작한 발트어계 프로이센인에서 유래했다. 프로이센은 1947년까지 독일 북부에 있었던 주로서 1918년까지는 베를린을 수도로 한 호엔촐레른 가의 왕국이었다. 발트족의 일파인 프루사(고대 프로이센어: Prūsa)에서 이름을 땄다. 한국에서는 흔히 영어식 발음을 따서 프러시아라고 읽기도 한다. 과거에는 한자 표기로 보로사(普魯士) 또는 보로서(普魯西)라 하기도 했다.
|
rdfs:comment
|
- 프로이센(독일어: Preußen, 영어: Prussia 프러시아[*], 고대 프로이센어: Prūsa, 폴란드어: Prusy, 언어 오류(lt): Prūsai, 라틴어: Borussia, Prutenia)이란 지명은 이 지역에서 중세 초부터 살기 시작한 발트어계 프로이센인에서 유래했다.프로이센은 1947년까지 독일 북부에 있었던 주로서 1918년까지는 베를린을 수도로 한 호엔촐레른 가의 왕국이었다. 발트족의 일파인 프루사(고대 프로이센어: Prūsa)에서 이름을 땄다. 한국에서는 흔히 영어식 발음을 따서 프러시아라고 읽기도 한다. 과거에는 한자 표기로 보로사(普魯士) 또는 보로서(普魯西)라 하기도 했다.
- 프로이센(독일어: Preußen, 영어: Prussia 프러시아[*], 고대 프로이센어: Prūsa, 폴란드어: Prusy, 언어 오류(lt): Prūsai, 라틴어: Borussia, Prutenia)이란 지명은 이 지역에서 중세 초부터 살기 시작한 발트어계 프로이센인에서 유래했다. 프로이센은 1947년까지 독일 북부에 있었던 주로서 1918년까지는 베를린을 수도로 한 호엔촐레른 가의 왕국이었다. 발트족의 일파인 프루사(고대 프로이센어: Prūsa)에서 이름을 땄다. 한국에서는 흔히 영어식 발음을 따서 프러시아라고 읽기도 한다. 과거에는 한자 표기로 보로사(普魯士) 또는 보로서(普魯西)라 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