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독립 전쟁(터키어: Kurtuluş Savaşı 쿠르툴루쉬 사와시으[*], 1919년 5월 19일 ~ 1923년 10월 29일)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하여 연합국이 제국을 분리하려 하는데 반발한 터키 민족주의자들이 일으킨 정치 및 군사적 저항이다. 아나톨리아에서 터키의 민족 운동은 새로운 터키 대국민의회의 창설로 절정에 이르렀는데, 대국민의회는 무스타파 케말의 지도하에 자국의 자원을 성공적으로 동원하였다. 그리스-터키 전쟁, 터키-아르메니아 전쟁, 프랑스-터키 전쟁 이후 터키 혁명주의자들은 1923년 7월에 연합국이 세브르 조약을 폐기하고 새로이 협상하여 로잔 조약을 도출하게끔 하여, 1923년 10월에 아나톨리아와 동부 트라크야 지방은 터키 공화국의 영토로 보전할 수 있었다. 터키 민족 운동이 성립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밀레트 체제가 무너지고, 아타튀르크의 개혁으로 터키에 근대적이고 세속화된 국민 국가가 들어섰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터키 독립 전쟁(터키어: Kurtuluş Savaşı 쿠르툴루쉬 사와시으[*], 1919년 5월 19일 ~ 1923년 10월 29일)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하여 연합국이 제국을 분리하려 하는데 반발한 터키 민족주의자들이 일으킨 정치 및 군사적 저항이다. 아나톨리아에서 터키의 민족 운동은 새로운 터키 대국민의회의 창설로 절정에 이르렀는데, 대국민의회는 무스타파 케말의 지도하에 자국의 자원을 성공적으로 동원하였다. 그리스-터키 전쟁, 터키-아르메니아 전쟁, 프랑스-터키 전쟁 이후 터키 혁명주의자들은 1923년 7월에 연합국이 세브르 조약을 폐기하고 새로이 협상하여 로잔 조약을 도출하게끔 하여, 1923년 10월에 아나톨리아와 동부 트라크야 지방은 터키 공화국의 영토로 보전할 수 있었다. 터키 민족 운동이 성립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밀레트 체제가 무너지고, 아타튀르크의 개혁으로 터키에 근대적이고 세속화된 국민 국가가 들어섰다.
|
dbpedia-owl:combatant
|
- *
- ----
- 미국
- 영국
- 이탈리아 왕국
- 지원국
- 프랑스
- (1920 ~ 1923)
- 그루지야
- 아르메니아 민주 공화국
- 영국령 인도 제국
- 터키 대국민의회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 ----
- 미국
- 영국
- 이탈리아 왕국
- 지원국
- 프랑스
- (1920 ~ 1923)
- 그루지야
- 아르메니아 민주 공화국
- 영국령 인도 제국
- 터키 대국민의회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 *서아프리카
- *아르메니아 식민지
- *영국령 인도 제국
- 이탈리아 왕국(-1921)
|
dbpedia-owl:commander
| |
dbpedia-owl:place
| |
dbpedia-owl:result
|
- * 로잔 조약
- * 오스만 제국 멸망
- * 터키 공화국의 성립
- * 터키의 결정적인 승리
- * 로잔 조약
- * 오스만 제국 멸망
- * 터키 공화국의 성립
- * 터키의 결정적인 승리
- *로잔 조약
- *오스만 제국멸망
- *터키 공화국의 성립
- *터키의 결정적인 승리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9587 (xsd:integer)
- 9759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121 (xsd:integer)
- 124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2203096 (xsd:integer)
- 14483531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결과
|
- * 터키의 결정적인 승리
* 로잔 조약
* 오스만 제국 멸망
* 터키 공화국의 성립
|
prop-ko:교전국
|
- 그루지야
- 영국
- 프랑스
- 이탈리아 왕국
- 지원국
- ----
미국
- 아르메니아 민주 공화국
- 영국령 인도 제국
- 터키 대국민의회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 프랑스
* 아르메니아 식민지
* 서아프리카
아르메니아 민주 공화국
- 영국
* 영국령 인도 제국
*
----
미국
|
prop-ko:교전국1a
| |
prop-ko:교전국2a
| |
prop-ko:그림
|
- TreatyOfSevres .PNG
- TreatyOfSevres-ko 1.svg
|
prop-ko:날짜
| |
prop-ko:분쟁
| |
prop-ko:설명
| |
prop-ko:이유
| |
prop-ko:장소
| |
prop-ko:지휘관
|
-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이스메트 이뇌뉘
- 드라스타마트 카나얀
- 모베세스 실리크얀
- 아나스타시오스 파풀라스
- 알리 푸아트 제베소이
- 앙리 구로
- 요르요스 하치아네스티스
- 카즘 카라베키르
- 페브지 차크마크
- 모베세스 실리크얀
----
마크 브리스톨
|
dcterms:subject
| |
rdf:type
| |
rdfs:comment
|
- 터키 독립 전쟁(터키어: Kurtuluş Savaşı 쿠르툴루쉬 사와시으[*], 1919년 5월 19일 ~ 1923년 10월 29일)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하여 연합국이 제국을 분리하려 하는데 반발한 터키 민족주의자들이 일으킨 정치 및 군사적 저항이다. 아나톨리아에서 터키의 민족 운동은 새로운 터키 대국민의회의 창설로 절정에 이르렀는데, 대국민의회는 무스타파 케말의 지도하에 자국의 자원을 성공적으로 동원하였다. 그리스-터키 전쟁, 터키-아르메니아 전쟁, 프랑스-터키 전쟁 이후 터키 혁명주의자들은 1923년 7월에 연합국이 세브르 조약을 폐기하고 새로이 협상하여 로잔 조약을 도출하게끔 하여, 1923년 10월에 아나톨리아와 동부 트라크야 지방은 터키 공화국의 영토로 보전할 수 있었다. 터키 민족 운동이 성립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밀레트 체제가 무너지고, 아타튀르크의 개혁으로 터키에 근대적이고 세속화된 국민 국가가 들어섰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foaf:name
| |
is dbpedia-owl:isPartOfMilitaryConflict
of |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prop-ko:전체
of | |
is prop-ko:주요참전전투/전쟁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