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역(堤川驛)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중앙선에서 태백선이 분기한다. 충북선을 경유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하지만, 실제로 이 역은 충북선의 역이 아니며 충북선의 종점은 봉양역이다.현재 일반 열차가 30편성 정차하지만, 여객보다는 단양, 영월 지역의 시멘트 화물 운송 중계 및 태백 지역의 석탄 화물 운송 중계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06년 일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약 3380명(27위)이고, 화물 수송 톤키로는 약 33,379,000톤km이다. 서울로 가는 여객열차는 대부분 청량리행이고, 서울행은 오전 충북선 경유 1편성과 저녁 중앙선 경유 1편성만 운행하기 때문에 이외의 시간대에 서울역으로 가려면 청량리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편리하다. 2014년 5월 1일부터 충북도민의 충북선 이용 및 KTX 오송역 환승편의를 위하여 동대구역~제천역~영주역간 무궁화호가 왕복2회 편성됐다. 역 구내에 제천기관차승무사업소 등을 비롯한 한국철도공사 사업소와 충북본부가 있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제천역(堤川驛)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중앙선에서 태백선이 분기한다. 충북선을 경유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하지만, 실제로 이 역은 충북선의 역이 아니며 충북선의 종점은 봉양역이다.현재 일반 열차가 30편성 정차하지만, 여객보다는 단양, 영월 지역의 시멘트 화물 운송 중계 및 태백 지역의 석탄 화물 운송 중계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06년 일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약 3380명(27위)이고, 화물 수송 톤키로는 약 33,379,000톤km이다. 서울로 가는 여객열차는 대부분 청량리행이고, 서울행은 오전 충북선 경유 1편성과 저녁 중앙선 경유 1편성만 운행하기 때문에 이외의 시간대에 서울역으로 가려면 청량리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편리하다. 2014년 5월 1일부터 충북도민의 충북선 이용 및 KTX 오송역 환승편의를 위하여 동대구역~제천역~영주역간 무궁화호가 왕복2회 편성됐다. 역 구내에 제천기관차승무사업소 등을 비롯한 한국철도공사 사업소와 충북본부가 있다. 역무실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다.
- 제천역(堤川驛)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중앙선에서 태백선이 분기한다. 충북선을 경유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현재 일반 열차가 30편성 정차하지만, 여객보다는 단양, 영월 지역의 시멘트 화물 운송 중계 및 태백 지역의 석탄 화물 운송 중계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06년 일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약 3380명(27위)이고, 화물 수송 톤키로는 약 33,379,000톤km이다. 서울로 가는 여객열차는 대부분 청량리행이고, 서울행은 오전 충북선 경유 1편성과 오후 중앙선 경유 1편성만 운행하기 때문에 이외의 시간대에 서울역으로 가려면 청량리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편리하다. 2014년 5월 1일부터 충북도민의 충북선 이용 및 KTX 오송역 환승편의를 위하여 동대구역~대전역~제천역~영주역간 무궁화호가 왕복 2회 편성되었다. 역 구내에 제천기관차승무사업소 등을 비롯한 한국철도공사 사업소와 충북본부가 있다. 역무실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다.
|
dbpedia-owl:address
|
- 충청북도 제천시 의림대로 1
- 충청북도제천시의림대로 1
|
dbpedia-owl:fareZone
| |
dbpedia-owl:owningOrganisation
|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4807 (xsd:integer)
- 5134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168 (xsd:integer)
- 171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2368193 (xsd:integer)
- 14792326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개업일
| |
prop-ko:관할
| |
prop-ko:그림
|
- JeCheonStation.jpg
- Jecheonstation.jpg
|
prop-ko:그림설명
| |
prop-ko:노선
| |
prop-ko:등급
| |
prop-ko:비고
| |
prop-ko:소재지
| |
prop-ko:승강장
| |
prop-ko:역명
| |
prop-ko:영업거리
|
- 제천 기점 0.0 km
- 청량리 기점 144.6 km
|
prop-ko:전거리
| |
prop-ko:전방면
| |
prop-ko:전역
| |
prop-ko:전체모양
|
- border: 1px solid #aaa; border-collapse: collapse; border-spacing: 0px;
|
prop-ko:제목
| |
prop-ko:종별
| |
prop-ko:후거리
|
- 2.300000 (xsd:double)
- 3.900000 (xsd:double)
- 13.700000 (xsd:double)
|
prop-ko:후방면
| |
prop-ko:후역
| |
dcterms:subject
| |
rdf:type
| |
rdfs:comment
|
- 제천역(堤川驛)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중앙선에서 태백선이 분기한다. 충북선을 경유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하지만, 실제로 이 역은 충북선의 역이 아니며 충북선의 종점은 봉양역이다.현재 일반 열차가 30편성 정차하지만, 여객보다는 단양, 영월 지역의 시멘트 화물 운송 중계 및 태백 지역의 석탄 화물 운송 중계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06년 일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약 3380명(27위)이고, 화물 수송 톤키로는 약 33,379,000톤km이다. 서울로 가는 여객열차는 대부분 청량리행이고, 서울행은 오전 충북선 경유 1편성과 저녁 중앙선 경유 1편성만 운행하기 때문에 이외의 시간대에 서울역으로 가려면 청량리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편리하다. 2014년 5월 1일부터 충북도민의 충북선 이용 및 KTX 오송역 환승편의를 위하여 동대구역~제천역~영주역간 무궁화호가 왕복2회 편성됐다. 역 구내에 제천기관차승무사업소 등을 비롯한 한국철도공사 사업소와 충북본부가 있다.
- 제천역(堤川驛)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중앙선에서 태백선이 분기한다. 충북선을 경유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현재 일반 열차가 30편성 정차하지만, 여객보다는 단양, 영월 지역의 시멘트 화물 운송 중계 및 태백 지역의 석탄 화물 운송 중계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06년 일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약 3380명(27위)이고, 화물 수송 톤키로는 약 33,379,000톤km이다. 서울로 가는 여객열차는 대부분 청량리행이고, 서울행은 오전 충북선 경유 1편성과 오후 중앙선 경유 1편성만 운행하기 때문에 이외의 시간대에 서울역으로 가려면 청량리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편리하다. 2014년 5월 1일부터 충북도민의 충북선 이용 및 KTX 오송역 환승편의를 위하여 동대구역~대전역~제천역~영주역간 무궁화호가 왕복 2회 편성되었다. 역 구내에 제천기관차승무사업소 등을 비롯한 한국철도공사 사업소와 충북본부가 있다. 역무실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foaf:name
| |
is dbpedia-owl:routeStart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prop-ko:관할
of | |
is prop-ko:그림설명
of | |
is prop-ko:기점
of | |
is prop-ko:위치
of | |
is prop-ko:전방면
of | |
is prop-ko:전역
of | |
is prop-ko:후방면
of | |
is prop-ko:후역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