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남(李仁男, ?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우계(羽溪)이다. 무과 급제 후 남도우후로 재직 중 임진왜란을 당하여 충주 탄금대에서 전사했다. 갑산도호부사 이준헌(李遵憲)의 아들이며, 이광식 (1493년)이광식(李光軾)의 증손이다. 병마절도사 충장공(忠壯公) 이복남(李福男)의 동생이다.무과에 급제하였다. 1592년(선조 25) 남도우후가 되고, 그 해 임진왜란이 터지자 도순찰사 신립, 부순찰사 김여물 등과 함께 충주 탄금대에서 왜적과 맞서 싸웠으나 중과부적으로 패하고 전사하였다.후사 없이 사망하였으므로 둘째 형 이복남의 차남 이경수(李慶受)를 양자로 입후, 후사로 삼았다. 이경수는 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이인남(李仁男, ?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우계(羽溪)이다. 무과 급제 후 남도우후로 재직 중 임진왜란을 당하여 충주 탄금대에서 전사했다. 갑산도호부사 이준헌(李遵憲)의 아들이며, 이광식 (1493년)이광식(李光軾)의 증손이다. 병마절도사 충장공(忠壯公) 이복남(李福男)의 동생이다.무과에 급제하였다. 1592년(선조 25) 남도우후가 되고, 그 해 임진왜란이 터지자 도순찰사 신립, 부순찰사 김여물 등과 함께 충주 탄금대에서 왜적과 맞서 싸웠으나 중과부적으로 패하고 전사하였다.후사 없이 사망하였으므로 둘째 형 이복남의 차남 이경수(李慶受)를 양자로 입후, 후사로 삼았다. 이경수는 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1247 (xsd:integer)
- 1257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8033324 (xsd:integer)
- 14293857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dcterms:subject
| |
rdfs:comment
|
- 이인남(李仁男, ?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우계(羽溪)이다. 무과 급제 후 남도우후로 재직 중 임진왜란을 당하여 충주 탄금대에서 전사했다. 갑산도호부사 이준헌(李遵憲)의 아들이며, 이광식 (1493년)이광식(李光軾)의 증손이다. 병마절도사 충장공(忠壯公) 이복남(李福男)의 동생이다.무과에 급제하였다. 1592년(선조 25) 남도우후가 되고, 그 해 임진왜란이 터지자 도순찰사 신립, 부순찰사 김여물 등과 함께 충주 탄금대에서 왜적과 맞서 싸웠으나 중과부적으로 패하고 전사하였다.후사 없이 사망하였으므로 둘째 형 이복남의 차남 이경수(李慶受)를 양자로 입후, 후사로 삼았다. 이경수는 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