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edia-owl:abstract
|
- 이복남(李福男, 1555년 6월 28일 ~ 1597년 8월 16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본관은 우계(羽溪)로 자(字)는 수보(綏甫),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무과 급제후 선전관에 초임된 뒤 절충장군 전라도병마절도사(折衝將軍 全羅道兵馬節度使)에 이르렀다. 1588년(선조 21년)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1592년(선조 25) 나주 판관(羅州判官)이 되고, 그해 7월 나주판관 재직 중 임진왜란(壬辰倭亂)에 참전하여 웅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며, 전라조방장, 전라방어사(全羅防禦使), 충청조방장(忠淸助防將), 1594년 남원 부사(南原府使)·전라도 병마절도사, 이듬해 나주 목사(羅州牧使) 등을 역임했다. 다시 전라도병마절도사로 1597년(선조 30년) 정유재란(丁酉再亂)이 일어나 남원성이 함락되자, 그해 8월 5천의 군사를 이끌고 남원성에 들어가 남원성 전투에서 고니시 유키나카(小西行長) 등의 5만 군사를 대적하다가 패하고 조방장(助防將) 김경로(金敬老), 산성별장(山城別將) 신호(申浩) 등과 함께 전사하였다. 사후 바로 증(贈) 자헌대부 병조판서겸 지의금부사에 증직(贈職)되고 선무원종공신 1등(宣武原從功臣一等)에 녹훈되었으며, 뒤에 다시 증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 겸 판의금부사로 추증(追贈)되었다. 1612년(광해군 4년) 남원 칠충신사에 제향(祭享)하고 칠충신사는 후에 광해군 때에 충렬(忠烈祠)의 사액이 내려졌다. 1711년(숙종 37년) 숙종 때 충장(忠壯)의 시호를 받았다. 강원도 출신.
|
rdfs:comment
|
- 이복남(李福男, 1555년 6월 28일 ~ 1597년 8월 16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본관은 우계(羽溪)로 자(字)는 수보(綏甫),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무과 급제후 선전관에 초임된 뒤 절충장군 전라도병마절도사(折衝將軍 全羅道兵馬節度使)에 이르렀다. 1588년(선조 21년) 무과(武科)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1592년(선조 25) 나주 판관(羅州判官)이 되고, 그해 7월 나주판관 재직 중 임진왜란(壬辰倭亂)에 참전하여 웅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며, 전라조방장, 전라방어사(全羅防禦使), 충청조방장(忠淸助防將), 1594년 남원 부사(南原府使)·전라도 병마절도사, 이듬해 나주 목사(羅州牧使) 등을 역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