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삼(圓衫)이란 한복에서 혼례복의 일종을 일컫는 것으로 원삼은 앞깃이 둥글기 때문에 둥근 원 자를 쓰며 활옷과 함께 대표적인 왕실의 혼례복이다. 대례복이며 색깔은 지위를 의미했으며 황후는 황원삼(黃圓衫), 왕비는의 홍원삼(紅圓衫), 빈궁(嬪宮)은 자적 원삼(紫赤圓衫) 등으로 불려 지위에 따라 구분됐다. 그 중에서 녹원삼은 공주와 옹주 및 정조 때 이후로는 서민들에게도 퍼져 대부분의 서민들도 혼례 때만큼은 입도록 허용됐다.원삼과 활옷과는 비슷하지만 소매나 옷길이가 좀 짧은 형태이다. 원삼의 시초는 통일신라 시대이며 당나라에서 많은 복식 제도가 들어오면서 이 형태도 들어온 것이다. 왕비의 원삼은 자적색, 또는 다홍색 길에 홍황두색의 색동을 써 여러 천을 사용한다. 후에 조선 초 명나라의 의복인 장배자의 영향을 받아 예복으로 쓰이게 되었다.
Property | Value |
---|---|
dbpedia-owl:abstract |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dcterms:subject | |
rdfs:comment |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