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풍대군(完豐大君, 1330년 ~ 1388년 10월 23일) 또는 완산군(完山君)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군인·관료·시인 이며 환조 이자춘의 아들이자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이름은 이원계(李元桂)이다.일찍이 무과와 문과에 모두 급제했으며 홍건적의 난 이후 두 차례의 홍건적의 침략을 격퇴했고, 군 원수로서 이성계, 변안렬 등과 함께 왜구의 침공을 물리쳤다. 고려의 충신이던 그는 이복 동생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반대했으며,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려는 뜻을 알고 절명시를 남긴 뒤 음독자결하였다.생전의 작위는 척산군(陟山君)과 완산군(完山君)으로, 고려말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시킨 공로로 척산군에 봉군되었고, 뒤에 다시 완산군(完山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사후 고종 즉위 후 1872년(고종 9년) 완풍대군으로 추봉(追封)되었다. 목화를 들여온 문익점은 그의 장인이고 '물레를 만들었다는 〈문내(문래)〉'와 〈문영〉 형제는 그의 처조카이다. 시호는 양평(襄平)이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완풍대군(完豐大君, 1330년 ~ 1388년 10월 23일) 또는 완산군(完山君)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군인·관료·시인 이며 환조 이자춘의 아들이자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이름은 이원계(李元桂)이다.일찍이 무과와 문과에 모두 급제했으며 홍건적의 난 이후 두 차례의 홍건적의 침략을 격퇴했고, 군 원수로서 이성계, 변안렬 등과 함께 왜구의 침공을 물리쳤다. 고려의 충신이던 그는 이복 동생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반대했으며,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려는 뜻을 알고 절명시를 남긴 뒤 음독자결하였다.생전의 작위는 척산군(陟山君)과 완산군(完山君)으로, 고려말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시킨 공로로 척산군에 봉군되었고, 뒤에 다시 완산군(完山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사후 고종 즉위 후 1872년(고종 9년) 완풍대군으로 추봉(追封)되었다. 목화를 들여온 문익점은 그의 장인이고 '물레를 만들었다는 〈문내(문래)〉'와 〈문영〉 형제는 그의 처조카이다. 시호는 양평(襄平)이다.
- 완풍대군(完豊大君, 1330년 ~ 1388년 10월 23일) 또는 완산군(完山君)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군인·관료·시인 이며 환조 이자춘의 아들이자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이름은 이원계(李元桂)이다.일찍이 무과와 문과에 모두 급제했으며 홍건적의 난 이후 두 차례의 홍건적의 침략을 격퇴했고, 군 원수로서 이성계, 변안렬 등과 함께 왜구의 침공을 물리쳤다. 고려의 충신이던 그는 이복 동생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반대했으며,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려는 뜻을 알고 절명시를 남긴 뒤 음독자결하였다.생전의 작위는 척산군(陟山君)과 완산군(完山君)으로, 고려말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시킨 공로로 척산군에 봉군되었고, 뒤에 다시 완산군(完山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사후 고종 즉위 후 1872년(고종 9년) 완풍대군으로 추봉(追封)되었다. 목화를 들여온 문익점은 그의 장인이고 '물레를 만들었다는 〈문내(문래)〉'와 〈문영〉 형제는 그의 처조카이다. 시호는 양평(襄平)이다.
|
dbpedia-owl:birthPlace
| |
dbpedia-owl:country
| |
dbpedia-owl:deathPlace
| |
dbpedia-owl:serviceEndYear
|
- 1388-01-01 00:00:00 (xsd:date)
|
dbpedia-owl:serviceStartYear
|
- 1388-01-01 00:00:00 (xsd:date)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5847 (xsd:integer)
- 6204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152 (xsd:integer)
- 165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2391487 (xsd:integer)
- 14685667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거주지
| |
prop-ko:국적
| |
prop-ko:기타이력
|
- 사후 추봉 완산백, 완풍대군
- 사후 추증 평원부원군
- 작위 척산군, 완산군, 완풍군
|
prop-ko:배우자
| |
prop-ko:별명
|
- 증 평원부원군
- 척산군, 완산군, 완풍군, 평원부원군, 완산백, 완풍대군
- 완산군
- 완풍군
- 증 완산백
- 척산군
|
prop-ko:별칭
| |
prop-ko:복무
| |
prop-ko:복무기간
| |
prop-ko:본명
| |
prop-ko:부모
| |
prop-ko:사망원인
| |
prop-ko:사망일
| |
prop-ko:사망지
| |
prop-ko:생애
| |
prop-ko:이름
|
- 完豐大君
- 李元桂
- 완풍대군
- 이원계
- 완풍대군 이원계
- 完豊大君 李元桂
|
prop-ko:자녀
| |
prop-ko:작위
| |
prop-ko:종교
| |
prop-ko:주요참전전투/전쟁
| |
prop-ko:죽은곳
| |
prop-ko:지휘
| |
prop-ko:최종계급
| |
prop-ko:출생일
| |
prop-ko:출생지
| |
prop-ko:친척
| |
prop-ko:태어난곳
| |
dcterms:subject
| |
rdf:type
| |
rdfs:comment
|
- 완풍대군(完豐大君, 1330년 ~ 1388년 10월 23일) 또는 완산군(完山君)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군인·관료·시인 이며 환조 이자춘의 아들이자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이름은 이원계(李元桂)이다.일찍이 무과와 문과에 모두 급제했으며 홍건적의 난 이후 두 차례의 홍건적의 침략을 격퇴했고, 군 원수로서 이성계, 변안렬 등과 함께 왜구의 침공을 물리쳤다. 고려의 충신이던 그는 이복 동생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반대했으며,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려는 뜻을 알고 절명시를 남긴 뒤 음독자결하였다.생전의 작위는 척산군(陟山君)과 완산군(完山君)으로, 고려말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시킨 공로로 척산군에 봉군되었고, 뒤에 다시 완산군(完山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사후 고종 즉위 후 1872년(고종 9년) 완풍대군으로 추봉(追封)되었다. 목화를 들여온 문익점은 그의 장인이고 '물레를 만들었다는 〈문내(문래)〉'와 〈문영〉 형제는 그의 처조카이다. 시호는 양평(襄平)이다.
- 완풍대군(完豊大君, 1330년 ~ 1388년 10월 23일) 또는 완산군(完山君)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군인·관료·시인 이며 환조 이자춘의 아들이자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이름은 이원계(李元桂)이다.일찍이 무과와 문과에 모두 급제했으며 홍건적의 난 이후 두 차례의 홍건적의 침략을 격퇴했고, 군 원수로서 이성계, 변안렬 등과 함께 왜구의 침공을 물리쳤다. 고려의 충신이던 그는 이복 동생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반대했으며,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려는 뜻을 알고 절명시를 남긴 뒤 음독자결하였다.생전의 작위는 척산군(陟山君)과 완산군(完山君)으로, 고려말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시킨 공로로 척산군에 봉군되었고, 뒤에 다시 완산군(完山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사후 고종 즉위 후 1872년(고종 9년) 완풍대군으로 추봉(追封)되었다. 목화를 들여온 문익점은 그의 장인이고 '물레를 만들었다는 〈문내(문래)〉'와 〈문영〉 형제는 그의 처조카이다. 시호는 양평(襄平)이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foaf:name
| |
foaf:nick
|
- 척산군, 완산군, 완풍군, 평원부원군, 완산백, 완풍대군
|
is dbpedia-owl:wikiPageDisambiguates
of |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prop-ko:부모
of | |
is prop-ko:인물
of | |
is prop-ko:친척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