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우미노 미후네(일본어: 淡海三船 (おうみ の みふね), 722~785) 는 일본 나라 시대(奈良時代) 후기의 문인으로, 임신의 난으로 덴무 천황(天武天皇)에게 패하고 쫓겨나 자결한 오토모 황자(大友皇子)의 증손자이다. 식부경(式部卿) ・ 가쓰노 왕(葛野王)의 손자로 내장두(內匠頭) ・ 이케베 왕(池邊王)의 아들이다. 황족으로서의 이름은 미후네 왕(御船王)이었으며, 신적강하(臣籍降下)된 뒤 마히토(眞人)의 가바네(姓)를 받았다. 관위는 종4위하 ・ 형부경(刑部卿).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오우미노 미후네(일본어: 淡海三船 (おうみ の みふね), 722~785) 는 일본 나라 시대(奈良時代) 후기의 문인으로, 임신의 난으로 덴무 천황(天武天皇)에게 패하고 쫓겨나 자결한 오토모 황자(大友皇子)의 증손자이다. 식부경(式部卿) ・ 가쓰노 왕(葛野王)의 손자로 내장두(內匠頭) ・ 이케베 왕(池邊王)의 아들이다. 황족으로서의 이름은 미후네 왕(御船王)이었으며, 신적강하(臣籍降下)된 뒤 마히토(眞人)의 가바네(姓)를 받았다. 관위는 종4위하 ・ 형부경(刑部卿).
- 오우미노 미후네(일본어: 淡海三船 (おうみ の みふね), 담(염)해삼선, 722~785) 는 일본 나라 시대(奈良時代) 후기의 문인으로, 임신의 난으로 덴무 천황(天武天皇)에게 패하고 쫓겨나 자결한 오토모 황자(大友皇子)의 증손자이다. 식부경(式部卿) ・ 가쓰노 왕(葛野王)의 손자로 내장두(內匠頭) ・ 이케베 왕(池邊王)의 아들이다. 황족으로서의 이름은 미후네 왕(御船王)이었으며, 신적강하(臣籍降下)된 뒤 마히토(眞人)의 가바네(姓)를 받았다. 관위는 종4위하 ・ 형부경(刑部卿).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2851 (xsd:integer)
- 2860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1025993 (xsd:integer)
- 13375632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dcterms:subject
| |
rdfs:comment
|
- 오우미노 미후네(일본어: 淡海三船 (おうみ の みふね), 722~785) 는 일본 나라 시대(奈良時代) 후기의 문인으로, 임신의 난으로 덴무 천황(天武天皇)에게 패하고 쫓겨나 자결한 오토모 황자(大友皇子)의 증손자이다. 식부경(式部卿) ・ 가쓰노 왕(葛野王)의 손자로 내장두(內匠頭) ・ 이케베 왕(池邊王)의 아들이다. 황족으로서의 이름은 미후네 왕(御船王)이었으며, 신적강하(臣籍降下)된 뒤 마히토(眞人)의 가바네(姓)를 받았다. 관위는 종4위하 ・ 형부경(刑部卿).
- 오우미노 미후네(일본어: 淡海三船 (おうみ の みふね), 담(염)해삼선, 722~785) 는 일본 나라 시대(奈良時代) 후기의 문인으로, 임신의 난으로 덴무 천황(天武天皇)에게 패하고 쫓겨나 자결한 오토모 황자(大友皇子)의 증손자이다. 식부경(式部卿) ・ 가쓰노 왕(葛野王)의 손자로 내장두(內匠頭) ・ 이케베 왕(池邊王)의 아들이다. 황족으로서의 이름은 미후네 왕(御船王)이었으며, 신적강하(臣籍降下)된 뒤 마히토(眞人)의 가바네(姓)를 받았다. 관위는 종4위하 ・ 형부경(刑部卿).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