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벤키어(어웡키어)는 러시아(예벤키 자치구, 사하 공화국, 부랴트 공화국)와 몽골, 중국에서 쓰이는 언어이다. 러시아에서는 1920년대에 소련의 영향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나, 몽골과 중국에서는 몽골 문자를 사용한다[1].일부 지역에선 야쿠트어와 부랴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러시아어의 영향도 받았다(1979년에는 75.2 %의 예벤키족이 러시아어를 사용했으나, 2002년에는 92.7%의 예벤키족이 러시아어를 사용했다). 예벤키어는 3개의 주요 방언(동부와 서부, 북부 방언)으로 나뉘어 있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예벤키어(어웡키어)는 러시아(예벤키 자치구, 사하 공화국, 부랴트 공화국)와 몽골, 중국에서 쓰이는 언어이다. 러시아에서는 1920년대에 소련의 영향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나, 몽골과 중국에서는 몽골 문자를 사용한다[1].일부 지역에선 야쿠트어와 부랴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러시아어의 영향도 받았다(1979년에는 75.2 %의 예벤키족이 러시아어를 사용했으나, 2002년에는 92.7%의 예벤키족이 러시아어를 사용했다). 예벤키어는 3개의 주요 방언(동부와 서부, 북부 방언)으로 나뉘어 있다.
|
dbpedia-owl:iso6392Code
| |
dbpedia-owl:iso6393Code
| |
dbpedia-owl:languageFamily
| |
dbpedia-owl:wikiPageExternalLink
| |
dbpedia-owl:wikiPageID
|
- 54517 (xsd:integer)
- 1143337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Length
|
- 14 (xsd:integer)
- 674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1 (xsd:integer)
- 25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Redirects
|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1062771 (xsd:integer)
- 12822222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iso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계통
| |
prop-ko:계통색
| |
prop-ko:이름
| |
dcterms:subject
| |
rdf:type
| |
rdfs:comment
|
- 예벤키어(어웡키어)는 러시아(예벤키 자치구, 사하 공화국, 부랴트 공화국)와 몽골, 중국에서 쓰이는 언어이다. 러시아에서는 1920년대에 소련의 영향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나, 몽골과 중국에서는 몽골 문자를 사용한다[1].일부 지역에선 야쿠트어와 부랴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러시아어의 영향도 받았다(1979년에는 75.2 %의 예벤키족이 러시아어를 사용했으나, 2002년에는 92.7%의 예벤키족이 러시아어를 사용했다). 예벤키어는 3개의 주요 방언(동부와 서부, 북부 방언)으로 나뉘어 있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foaf:name
|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prop-ko:언어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