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은 유기화합물의 일종이다. 화학식은 C10H16N2O8이다. 여섯 자리 리간드로 작용할 수 있으며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카이랄성을 가진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든다. EDTA는 금속 이온을 중심으로 하는 팔면체의 여섯 꼭지점에 동시에 배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중심 금속은 리간드에 의해 둘러싸여지게 된다. 따라서 EDTA는 특정 금속 이온에 대하여 강한 친화력을 가진다. 백색 결정 또는 분말로 존재한다. 245℃에서 분해된다. 분자량은 292.24이고, 밀도는 0.86g/cm3이다. 사양성자산으로 작용할 수 있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은 유기화합물의 일종이다. 화학식은 C10H16N2O8이다. 여섯 자리 리간드로 작용할 수 있으며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카이랄성을 가진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든다. EDTA는 금속 이온을 중심으로 하는 팔면체의 여섯 꼭지점에 동시에 배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중심 금속은 리간드에 의해 둘러싸여지게 된다. 따라서 EDTA는 특정 금속 이온에 대하여 강한 친화력을 가진다. 백색 결정 또는 분말로 존재한다. 245℃에서 분해된다. 분자량은 292.24이고, 밀도는 0.86g/cm3이다. 사양성자산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은 유기화합물의 일종이다. 화학식은 C10H16N2O8이다. 여섯 자리 리간드로 작용할 수 있으며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카이랄성을 가진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든다. EDTA는 금속 이온을 중심으로 하는 팔면체의 여섯 꼭짓점에 동시에 배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중심 금속은 리간드에 의해 둘러싸여지게 된다. 따라서 EDTA는 특정 금속 이온에 대하여 강한 친화력을 가진다. 백색 결정 또는 분말로 존재한다. 245℃에서 분해된다. 분자량은 292.24이고, 밀도는 0.86g/cm3이다. 사양성자산으로 작용할 수 있다.
|
dbpedia-owl:wikiPageExternalLink
|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2212 (xsd:integer)
- 2234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2213679 (xsd:integer)
- 14404682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그림
|
- EDTA-xtal-3D-balls.png
- Ethylenediaminetetraacetic.png
- EDTA.svg
|
prop-ko:녹는점
| |
prop-ko:눈
|
- 자극이 있을 수 있으며, 눈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
prop-ko:밀도
| |
prop-ko:분자량
| |
prop-ko:상온상태
| |
prop-ko:상온색
| |
prop-ko:섭취
|
- 자극이 있을 수 있으며, 위장, 신장에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
|
prop-ko:이름
| |
prop-ko:피부
| |
prop-ko:화학식
| |
prop-ko:흡입
| |
dcterms:subject
| |
rdf:type
| |
rdfs:comment
|
-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은 유기화합물의 일종이다. 화학식은 C10H16N2O8이다. 여섯 자리 리간드로 작용할 수 있으며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카이랄성을 가진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든다. EDTA는 금속 이온을 중심으로 하는 팔면체의 여섯 꼭지점에 동시에 배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중심 금속은 리간드에 의해 둘러싸여지게 된다. 따라서 EDTA는 특정 금속 이온에 대하여 강한 친화력을 가진다. 백색 결정 또는 분말로 존재한다. 245℃에서 분해된다. 분자량은 292.24이고, 밀도는 0.86g/cm3이다. 사양성자산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 아세트산)은 유기화합물의 일종이다. 화학식은 C10H16N2O8이다. 여섯 자리 리간드로 작용할 수 있으며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카이랄성을 가진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든다. EDTA는 금속 이온을 중심으로 하는 팔면체의 여섯 꼭짓점에 동시에 배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중심 금속은 리간드에 의해 둘러싸여지게 된다. 따라서 EDTA는 특정 금속 이온에 대하여 강한 친화력을 가진다. 백색 결정 또는 분말로 존재한다. 245℃에서 분해된다. 분자량은 292.24이고, 밀도는 0.86g/cm3이다. 사양성자산으로 작용할 수 있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foaf:name
|
-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