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에서, 양자장론(量子場論, 영어: quantum field theory, QFT) 혹은 양자 마당 이론은 장을 기술하는 양자 이론이다. 입자 물리학이나 응집물질 물리학등의 이론적인 바탕을 이룬다. 좁은 의미에서는 양자장론은 양자역학과 특수상대성이론을 결합한 이론이다. 양자전기역학이나 표준 모형이 대표적인 예다. 넓은 의미에서는 비상대적이지만 양자화된 장을 다루는 이론도 포함한다. 응집물질 물리학에서 다루는 양자장론이 이 경우에 속한다. 주요한 예로 BCS 이론등이 있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물리학에서, 양자장론(量子場論, 영어: quantum field theory, QFT) 혹은 양자 마당 이론은 장을 기술하는 양자 이론이다. 입자 물리학이나 응집물질 물리학등의 이론적인 바탕을 이룬다. 좁은 의미에서는 양자장론은 양자역학과 특수상대성이론을 결합한 이론이다. 양자전기역학이나 표준 모형이 대표적인 예다. 넓은 의미에서는 비상대적이지만 양자화된 장을 다루는 이론도 포함한다. 응집물질 물리학에서 다루는 양자장론이 이 경우에 속한다. 주요한 예로 BCS 이론등이 있다.
- 물리학에서, 양자장론(量子場論, 문화어: 량자마당론, 영어: quantum field theory, QFT) 혹은 양자 마당 이론은 장을 기술하는 양자 이론이다. 입자 물리학이나 응집물질 물리학등의 이론적인 바탕을 이룬다. 좁은 의미에서는 양자장론은 양자역학과 특수상대성이론을 결합한 이론이다. 양자전기역학이나 표준 모형이 대표적인 예다. 넓은 의미에서는 비상대적이지만 양자화된 장을 다루는 이론도 포함한다. 응집물질 물리학에서 다루는 양자장론이 이 경우에 속한다. 주요한 예로 BCS 이론 등이 있다.
|
dbpedia-owl:wikiPageExternalLink
|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8543 (xsd:integer)
- 8556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1146345 (xsd:integer)
- 14380895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arxiv
|
- 810.332800 (xsd:double)
- 908.139500 (xsd:double)
- 1110.501300 (xsd:double)
- hep-ph/0609174
- hep-th/0409035
- hep-th/0510040
- hep-th/9505152
- hep-th/9704139
- hep-th/9803075
- hep-th/9912205
|
prop-ko:doi
|
- 10.100200 (xsd:double)
- 10.100700 (xsd:double)
- 10.101700 (xsd:double)
- 10.110300 (xsd:double)
- 10.114200 (xsd:double)
|
prop-ko:edition
| |
prop-ko:first
| |
prop-ko:id
| |
prop-ko:isbn
|
- 0 (xsd:integer)
- 89 (xsd:integer)
- 978 (xsd:integer)
- 981 (xsd:integer)
- 9780521478144 (xsd:double)
- 9780521864497 (xsd:double)
- 9780691140346 (xsd:double)
- 9783527408351 (xsd:double)
|
prop-ko:last
|
- Bogoliubov
- Frampton
- Itzykson
|
prop-ko:publisher
|
- Benjamin-Cummings
- McGraw-Hill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Springer
- Wiley-VCH
|
prop-ko:title
|
- Gauge Field Theories
- Quantum Field Theory
- Quantum Field Theory in a Nutshell
- Quantum Fields
- The Theory of Quark and Gluon Interactions
- 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and Introduction to Field Theory
|
prop-ko:url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year
|
- 1980 (xsd:integer)
- 1982 (xsd:integer)
- 1996 (xsd:integer)
- 2008 (xsd:integer)
- 2010 (xsd:integer)
|
prop-ko:공저자
|
- Berndt Müller
- C. Lüdeling
- D. Shirkov
- Daniel V. Schroeder
- Graham Shaw
- J.-B. Zuber
- Joachim Reinhardt
- K. Bland, Gerald B. Cleaver, J. Dittmann
- Leszek Hadasz
- Miguel A. Vázquez-Mozo
- Stefan Schramm, Eckart Stein
- Tibra Ali, Gerald B. Cleaver
- Verena Schulte-Frohlinde
|
prop-ko:권
| |
prop-ko:기타
|
- Graduate Texts in Contemporary Physics
- 대우학술총서 자연과학 69
|
prop-ko:성
|
- Arodz
- Buchmüller
- Coleman
- Crewther
- Greiner
- Gross
- Huang
- Kane
- Kleinert
- Mandl
- Nair
- Ng
- Peskin
- Robinson
- Ryder
- Siegel
- Srednicki
- Wilczek
- Ynduráin Muñoz
- Zee
- Álvarez-Gaumé
|
prop-ko:언어고리
| |
prop-ko:연도
|
- 1986 (xsd:integer)
- 1991 (xsd:integer)
- 1993 (xsd:integer)
- 1995 (xsd:integer)
- 1996 (xsd:integer)
- 1997 (xsd:integer)
- 1999 (xsd:integer)
- 2001 (xsd:integer)
- 2005 (xsd:integer)
- 2006 (xsd:integer)
- 2007 (xsd:integer)
- 2008 (xsd:integer)
- 2009 (xsd:integer)
- 2010 (xsd:integer)
- 2011 (xsd:integer)
|
prop-ko:월
|
- 2 (xsd:integer)
- 4 (xsd:integer)
- 5 (xsd:integer)
- 6 (xsd:integer)
- 7 (xsd:integer)
- 9 (xsd:integer)
- 10 (xsd:integer)
- 11 (xsd:integer)
|
prop-ko:위치
|
- Berlin, Heidelberg
- New York
- Singapore
|
prop-ko:이름
|
- Anthony
- David
- Francisco José
- Frank
- Franz
- Gordon L.
- Hagen
- Henryk
- Kerson
- Luis
- Mark
- Matthew B.
- Michael E.
- R.J.
- Sidney
- Tai-Kai
- V. Parameswaran
- W.
- Walter
- Warren
|
prop-ko:저널
|
- Reviews of Modern Physics
|
prop-ko:저자
| |
prop-ko:저자고리
| |
prop-ko:제목
|
- The Triumph And Limitations Of Quantum Field Theory
- An Introduction to Quantum Field Theory
- Critical Properties of φ4-Theories
- Field Theory and Standard Model
- Fields
- Gauge Theory of Weak Interactions
-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Quantum Field Theory
- Introduction to Quantum Field Theory
- Introductory Lectures on Quantum Field Theory
- Lectures on Classical and Quantum Theory of Fields
- Modern Elementary Particle Physics
- Notes from Sidney Coleman’s Physics 253a
- Quantum Chromodynamics
- Quantum Electrodynamics
- Quantum Field Theory
- Quantum Field Theory: A Modern Perspective
- Quantum field theory
- A simple introduction to particle physics, Part I: Foundations and the Standard Model
- A simple introduction to particle physics, Part II: Geometric foundations and relativity
- Multivalued Fields in Condensed Matter, Electrodynamics, and Gravitation
- Quantum Field Theory: From Operators to Path Integrals
- 상대론적 양자역학: 입자물리학과 편극
- 양자 전기역학
- 양자장이론
|
prop-ko:쪽
| |
prop-ko:출판사
|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pringer
- Westview Press
- Wiley
- World Scientific
- 민음사
- 서울대학교 출판부
|
prop-ko:판
|
- 2 (xsd:integer)
- 3 (xsd:integer)
- 4 (xsd:integer)
- 개정판
|
prop-ko:호
| |
dcterms:subject
| |
rdfs:comment
|
- 물리학에서, 양자장론(量子場論, 영어: quantum field theory, QFT) 혹은 양자 마당 이론은 장을 기술하는 양자 이론이다. 입자 물리학이나 응집물질 물리학등의 이론적인 바탕을 이룬다. 좁은 의미에서는 양자장론은 양자역학과 특수상대성이론을 결합한 이론이다. 양자전기역학이나 표준 모형이 대표적인 예다. 넓은 의미에서는 비상대적이지만 양자화된 장을 다루는 이론도 포함한다. 응집물질 물리학에서 다루는 양자장론이 이 경우에 속한다. 주요한 예로 BCS 이론등이 있다.
- 물리학에서, 양자장론(量子場論, 문화어: 량자마당론, 영어: quantum field theory, QFT) 혹은 양자 마당 이론은 장을 기술하는 양자 이론이다. 입자 물리학이나 응집물질 물리학등의 이론적인 바탕을 이룬다. 좁은 의미에서는 양자장론은 양자역학과 특수상대성이론을 결합한 이론이다. 양자전기역학이나 표준 모형이 대표적인 예다. 넓은 의미에서는 비상대적이지만 양자화된 장을 다루는 이론도 포함한다. 응집물질 물리학에서 다루는 양자장론이 이 경우에 속한다. 주요한 예로 BCS 이론 등이 있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is dbpedia-owl:field
of | |
is dbpedia-owl:knownFor
of |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prop-ko:knownFor
of | |
is prop-ko:분야
of | |
is prop-ko:주요업적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