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스 산의 에우티미우스 (조지아어: ექვთიმე ათონელი 에크브티메 아토넬리)는 유명한 조지아인 철학자, 학자이며, 압하스인 에우피미우스나 성 에우티미우스 조지아인로도 알려져 있다. 동방정교회에서 그의 축일은 5월 13일이다.요아네 바라즈-바체 촐드바넬리의 아들이며 대 토르니케 에리스타비의 조카이다. 에우티미우스는 콘스탄티노플에 볼모로 잡혀있었으나 풀려난 다음에 아토스 산에 있는 아타나시오스의 대 라브라에 입회하여 수사가 됐다. 나중에 그는 조지아인의 이비론 수도원의 지도자가 됐고, 그의 세대의 동방 정교회 최고의 신학자들과 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부각되었다. 조지아어, 그리스어와 다른 언어들에 유창한 그는 많은 종교 논문들과 철학 작품들을 번역했다. 그의 주요 업적들 중에는 시브르즈네 발라바리사(발라흐바리의 지혜)의 번역본과, 바를라암과 요사팟의 이야기로 중세 유럽에서 매우 인기있게 된 고타마 부다의 삶에서의 에피소드들의 기독교식 번역본이 있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아토스 산의 에우티미우스 (조지아어: ექვთიმე ათონელი 에크브티메 아토넬리)는 유명한 조지아인 철학자, 학자이며, 압하스인 에우피미우스나 성 에우티미우스 조지아인로도 알려져 있다. 동방정교회에서 그의 축일은 5월 13일이다.요아네 바라즈-바체 촐드바넬리의 아들이며 대 토르니케 에리스타비의 조카이다. 에우티미우스는 콘스탄티노플에 볼모로 잡혀있었으나 풀려난 다음에 아토스 산에 있는 아타나시오스의 대 라브라에 입회하여 수사가 됐다. 나중에 그는 조지아인의 이비론 수도원의 지도자가 됐고, 그의 세대의 동방 정교회 최고의 신학자들과 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부각되었다. 조지아어, 그리스어와 다른 언어들에 유창한 그는 많은 종교 논문들과 철학 작품들을 번역했다. 그의 주요 업적들 중에는 시브르즈네 발라바리사(발라흐바리의 지혜)의 번역본과, 바를라암과 요사팟의 이야기로 중세 유럽에서 매우 인기있게 된 고타마 부다의 삶에서의 에피소드들의 기독교식 번역본이 있다. 이것들과 동등하게 중요한 것들은 다양한 그리스의 철학, 종교와 법률의 담론들의 조지아어 번역본들을 준비한 에우티미우스의 업적이다.
|
dbpedia-owl:birthYear
|
- 0955-01-01 00:00:00 (xsd:date)
|
dbpedia-owl:era
| |
dbpedia-owl:mainInterest
| |
dbpedia-owl:notableIdea
| |
dbpedia-owl:wikiPageExternalLink
|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1783 (xsd:integer)
- 1792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0477278 (xsd:integer)
- 14552478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그림
|
- St Euthymius of Athos .JPG
|
prop-ko:그림설명
|
- 아칼타 수도원에 있는 에우티미우스의 13세기 프레스코화
|
prop-ko:시대
| |
prop-ko:연구분야
| |
prop-ko:이름
| |
prop-ko:주요업적
| |
prop-ko:지역
| |
prop-ko:출생일
| |
prop-ko:출생지
| |
dcterms:subject
| |
rdf:type
| |
rdfs:comment
|
- 아토스 산의 에우티미우스 (조지아어: ექვთიმე ათონელი 에크브티메 아토넬리)는 유명한 조지아인 철학자, 학자이며, 압하스인 에우피미우스나 성 에우티미우스 조지아인로도 알려져 있다. 동방정교회에서 그의 축일은 5월 13일이다.요아네 바라즈-바체 촐드바넬리의 아들이며 대 토르니케 에리스타비의 조카이다. 에우티미우스는 콘스탄티노플에 볼모로 잡혀있었으나 풀려난 다음에 아토스 산에 있는 아타나시오스의 대 라브라에 입회하여 수사가 됐다. 나중에 그는 조지아인의 이비론 수도원의 지도자가 됐고, 그의 세대의 동방 정교회 최고의 신학자들과 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부각되었다. 조지아어, 그리스어와 다른 언어들에 유창한 그는 많은 종교 논문들과 철학 작품들을 번역했다. 그의 주요 업적들 중에는 시브르즈네 발라바리사(발라흐바리의 지혜)의 번역본과, 바를라암과 요사팟의 이야기로 중세 유럽에서 매우 인기있게 된 고타마 부다의 삶에서의 에피소드들의 기독교식 번역본이 있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foaf:name
|
- 아토스 산의 에우티미우스 (ექვთიმე ათონელი)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