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edia-owl:abstract
|
- 신립(申砬, 1546년 10월 23일 ~ 1592년 4월)은 조선 시대의 무신이자 장수로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도총부와 진주판관, 임진왜란 첫 해에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펼치고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장군이다. 신숭겸의 후손으로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입지(立之)라 했다. 시호는 충장(忠壯)이다.인조반정에 가담한 서인 신경진과 신경인형제의 아버지이며, 신경희의 옥사로 죽은 신경희의 숙부이다.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인 해공 신익희에게는 13대조가 된다.
- 신립(申砬, 1546년 10월 23일 ~ 1592년 4월)은 조선 시대의 무신이자 장수로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도총부와 진주판관, 한성판윤 등을 지냈다. 임진왜란 첫 해에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펼치고 왜군과 싸우다 전사한 장군이다. 신숭겸의 후손으로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입지(立之)라 했다. 시호는 충장(忠壯)이다.인조반정에 가담한 서인 신경진과 신경인 형제의 아버지이며, 신경희의 옥사로 죽은 신경희의 숙부이다.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인 해공 신익희에게는 13대조가 된다.
|
rdfs:comment
|
- 신립(申砬, 1546년 10월 23일 ~ 1592년 4월)은 조선 시대의 무신이자 장수로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도총부와 진주판관, 임진왜란 첫 해에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펼치고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장군이다. 신숭겸의 후손으로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입지(立之)라 했다. 시호는 충장(忠壯)이다.인조반정에 가담한 서인 신경진과 신경인형제의 아버지이며, 신경희의 옥사로 죽은 신경희의 숙부이다.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인 해공 신익희에게는 13대조가 된다.
- 신립(申砬, 1546년 10월 23일 ~ 1592년 4월)은 조선 시대의 무신이자 장수로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도총부와 진주판관, 한성판윤 등을 지냈다. 임진왜란 첫 해에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펼치고 왜군과 싸우다 전사한 장군이다. 신숭겸의 후손으로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입지(立之)라 했다. 시호는 충장(忠壯)이다.인조반정에 가담한 서인 신경진과 신경인 형제의 아버지이며, 신경희의 옥사로 죽은 신경희의 숙부이다.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인 해공 신익희에게는 13대조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