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edia-owl:abstract
|
- 3고(三苦)는 고고(苦苦) · 괴고(壞苦) · 행고(行苦)의 3가지 고통을 말한다.3고는 불교의 주요 교의인 고제(苦諦) · 집제(集諦) · 멸제(滅諦) · 도제(道諦)의 4성제(四聖諦) 중 첫 번째의 고제(苦諦)와 관련된 불교 교의 또는 사상이며, 또한 색온(色蘊) · 수온(受蘊) · 상온(想蘊) · 행온(行蘊) · 식온(識蘊)의 5온(五蘊) 가운데 수온(受蘊), 그리고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수(受)의 마음작용과 관련된 불교 교의 또는 사상이다.3고 중 행고(行苦)는 불교의 수행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멸하고 천류하고 변괴하는 유위법을 유위법으로 바르게 느끼는 것, 즉 행고(行苦)를 느끼는 수(受)의 마음작용을 개발하는 것을 수염(修厭), 즉 '염(厭, 산스크리트어: nirvid)을 닦는 것' 또는 '싫어하는 마음을 닦는 것'이라 한다. 《잡아함경》 제2권 제58경 〈음근경(陰根經)〉에서 고타마 붓다는 수염(修厭)을 닦으면 탐욕[欲]을 떠날 수 있고, 탐욕[欲]을 떠날 수 있으면 해탈하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수(受)의 마음작용과 관련하여, 세친은 《구사론》에서, 윤회의 근본원인은 무명(無明)이지만, 무명을 일으켜 생사를 윤회하게 하는 실제적인 가장 큰 원인은 전도(顚倒)된 수(受)와 상(想)의 마음작용, 즉 수취온(受取蘊)과 상취온(想取蘊)이라고 말하고 있다.
- 3고(三苦)는 고고(苦苦) · 괴고(壞苦) · 행고(行苦)의 3가지 고통을 말한다.3고는 불교의 주요 교의인 고제(苦諦) · 집제(集諦) · 멸제(滅諦) · 도제(道諦)의 4성제(四聖諦) 중 첫 번째의 고제(苦諦)와 관련된 불교 교의 또는 사상이며, 또한 색온(色蘊) · 수온(受蘊) · 상온(想蘊) · 행온(行蘊) · 식온(識蘊)의 5온(五蘊) 가운데 수온(受蘊), 그리고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수(受)의 마음작용과 관련된 불교 교의 또는 사상이다.3고 중 행고(行苦)는 불교의 수행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멸하고 천류하고 변괴하는 유위법을 유위법으로 바르게 느끼는 것, 즉 행고(行苦)를 느끼는 수(受)의 마음작용을 개발하는 것을 수염(修厭), 즉 '염(厭, 산스크리트어: nirvid)을 닦는 것' 또는 '싫어하는 마음을 닦는 것'이라 한다. 《잡아함경》 제2권 제58경 〈음근경(陰根經)〉에서 고타마 붓다는 수염(修厭)을 닦으면 탐욕[欲]을 떠날 수 있고, 탐욕[欲]을 떠날 수 있으면 해탈하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수(受)의 마음작용과 관련하여, 세친은 《구사론》에서, 윤회의 근본원인은 무명(無明)이지만, 무명을 일으켜 생사를 윤회하게 하는 실제적인 가장 큰 원인은 전도(顚倒)된 수(受)와 상(想)의 마음작용, 즉 수취온(受取蘊)과 상취온(想取蘊)이라고 말하고 있다.
|
prop-ko:id
|
- K.614, T.1585
- K.650, T.99
- K.955, T.1558
- T2, No. 99, CBETA
- T29, No. 1558, CBETA
- T31, No. 1585, CBETA
|
rdfs:comment
|
- 3고(三苦)는 고고(苦苦) · 괴고(壞苦) · 행고(行苦)의 3가지 고통을 말한다.3고는 불교의 주요 교의인 고제(苦諦) · 집제(集諦) · 멸제(滅諦) · 도제(道諦)의 4성제(四聖諦) 중 첫 번째의 고제(苦諦)와 관련된 불교 교의 또는 사상이며, 또한 색온(色蘊) · 수온(受蘊) · 상온(想蘊) · 행온(行蘊) · 식온(識蘊)의 5온(五蘊) 가운데 수온(受蘊), 그리고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수(受)의 마음작용과 관련된 불교 교의 또는 사상이다.3고 중 행고(行苦)는 불교의 수행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멸하고 천류하고 변괴하는 유위법을 유위법으로 바르게 느끼는 것, 즉 행고(行苦)를 느끼는 수(受)의 마음작용을 개발하는 것을 수염(修厭), 즉 '염(厭, 산스크리트어: nirvid)을 닦는 것' 또는 '싫어하는 마음을 닦는 것'이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