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르칸트(러시아어: Самарка́нд, 언어 오류(uz): Samarqand, Самарқанд, 아랍어: سمرقند, 페르시아어: سمرقند)는 중앙아시아 두번 째로 큰 우즈베키스탄의 고도이며, 사마르칸트 주의 주도이다. 소그드 어로 ‘돌 요새’ 또는 ‘바위 도시’라는 의미이며, 몽골어(Самарканд)로는 ‘밤 바위’ 또는 ‘딱딱한 바위’를 의미한다. 이곳이 가장 유명한 이유는 서역과 중국의 실크로드 중간에 위치한 지정학적 위치로 이슬람 연구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 14세기에 티무르 제국의 수도였으며, 구르아미르의 유적지이다. 비비하눔 사원 유적지는 이 도시의 가장 유명한 랜드마크 중 하나이다. 레지스탄은 고도의 중심지였다. 아무다리야 강의 지류인 제라프샨 강 하류에 있고, 기계·화학·면화·비단·피혁등의 공업이 발달해 있다. 인구 약 38만 명(2001년).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사마르칸트(러시아어: Самарка́нд, 언어 오류(uz): Samarqand, Самарқанд, 아랍어: سمرقند, 페르시아어: سمرقند)는 중앙아시아 두번 째로 큰 우즈베키스탄의 고도이며, 사마르칸트 주의 주도이다. 소그드 어로 ‘돌 요새’ 또는 ‘바위 도시’라는 의미이며, 몽골어(Самарканд)로는 ‘밤 바위’ 또는 ‘딱딱한 바위’를 의미한다. 이곳이 가장 유명한 이유는 서역과 중국의 실크로드 중간에 위치한 지정학적 위치로 이슬람 연구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 14세기에 티무르 제국의 수도였으며, 구르아미르의 유적지이다. 비비하눔 사원 유적지는 이 도시의 가장 유명한 랜드마크 중 하나이다. 레지스탄은 고도의 중심지였다. 아무다리야 강의 지류인 제라프샨 강 하류에 있고, 기계·화학·면화·비단·피혁등의 공업이 발달해 있다. 인구 약 38만 명(2001년). 우즈베키스탄의 대통령 이슬람 카리모프는 이 도시출신이다.주민은 400만 명이고, 우즈벡인, 타지크족, 러시아인, 유대인이 거주하고 있다.2001년, 유네스코는 세계 유산 목록에 사마르칸트를 〈사마르칸트 - 문화의 교차로〉(Samarkand – Crossroads of Cultures)로 추가하였다.
- 사마르칸트(러시아어: Самарка́нд, 언어 오류(uz): Samarqand, Самарқанд, 아랍어: سمرقند, 페르시아어: سمرقند)는 중앙아시아 두번째로 큰 우즈베키스탄의 고도이며, 사마르칸트 주의 주도이다. 소그드 어로 ‘돌 요새’ 또는 ‘바위 도시’라는 의미이며, 몽골어(Самарканд)로는 ‘밤 바위’ 또는 ‘딱딱한 바위’를 의미한다. 이곳이 가장 유명한 이유는 서역과 중국의 실크로드 중간에 위치한 지정학적 위치로 이슬람 연구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 14세기에 티무르 제국의 수도였으며, 구르아미르의 유적지이다. 비비하눔 사원 유적지는 이 도시의 가장 유명한 랜드마크 중 하나이다. 레지스탄은 고도의 중심지였다.아무다리야 강의 지류인 제라프샨 강 하류에 있고, 기계·화학·면화·비단·피혁등의 공업이 발달해 있다. 인구 약 38만 명(2001년). 우즈베키스탄의 대통령 이슬람 카리모프는 이 도시출신이다.주민은 400만 명이고, 우즈벡인, 타지크족, 러시아인, 유대인이 거주하고 있다.2001년, 유네스코는 세계 유산 목록에 사마르칸트를 〈사마르칸트 - 문화의 교차로〉(Samarkand – Crossroads of Cultures)로 추가하였다.
|
dbpedia-owl:country
| |
dbpedia-owl:populationTotal
| |
dbpedia-owl:populationUrban
| |
dbpedia-owl:region
| |
dbpedia-owl:wikiPageExternalLink
|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9498 (xsd:integer)
- 9517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110 (xsd:integer)
- 111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1860071 (xsd:integer)
- 13889626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aprHighC
| |
prop-ko:aprHumidity
| |
prop-ko:aprLowC
| |
prop-ko:aprMeanC
| |
prop-ko:aprPrecipitationDays
| |
prop-ko:aprPrecipitationMm
| |
prop-ko:aprRecordHighC
| |
prop-ko:aprRecordLowC
| |
prop-ko:aprSnowDays
| |
prop-ko:aprSun
| |
prop-ko:augHighC
| |
prop-ko:augHumidity
| |
prop-ko:augLowC
| |
prop-ko:augMeanC
| |
prop-ko:augPrecipitationDays
| |
prop-ko:augPrecipitationMm
| |
prop-ko:augRecordHighC
| |
prop-ko:augRecordLowC
| |
prop-ko:augSnowDays
| |
prop-ko:augSun
| |
prop-ko:date
| |
prop-ko:decHighC
| |
prop-ko:decHumidity
| |
prop-ko:decLowC
| |
prop-ko:decMeanC
| |
prop-ko:decPrecipitationDays
| |
prop-ko:decPrecipitationMm
| |
prop-ko:decRecordHighC
| |
prop-ko:decRecordLowC
| |
prop-ko:decSnowDays
| |
prop-ko:decSun
| |
prop-ko:febHighC
| |
prop-ko:febHumidity
| |
prop-ko:febLowC
| |
prop-ko:febMeanC
| |
prop-ko:febPrecipitationDays
| |
prop-ko:febPrecipitationMm
| |
prop-ko:febRecordHighC
| |
prop-ko:febRecordLowC
| |
prop-ko:febSnowDays
| |
prop-ko:febSun
| |
prop-ko:janHighC
| |
prop-ko:janHumidity
| |
prop-ko:janLowC
| |
prop-ko:janMeanC
| |
prop-ko:janPrecipitationDays
| |
prop-ko:janPrecipitationMm
| |
prop-ko:janRecordHighC
| |
prop-ko:janRecordLowC
| |
prop-ko:janSnowDays
| |
prop-ko:janSun
| |
prop-ko:julHighC
| |
prop-ko:julHumidity
| |
prop-ko:julLowC
| |
prop-ko:julMeanC
| |
prop-ko:julPrecipitationDays
| |
prop-ko:julPrecipitationMm
| |
prop-ko:julRecordHighC
| |
prop-ko:julRecordLowC
| |
prop-ko:julSnowDays
| |
prop-ko:julSun
| |
prop-ko:junHighC
| |
prop-ko:junHumidity
| |
prop-ko:junLowC
| |
prop-ko:junMeanC
| |
prop-ko:junPrecipitationDays
| |
prop-ko:junPrecipitationMm
| |
prop-ko:junRecordHighC
| |
prop-ko:junRecordLowC
| |
prop-ko:junSnowDays
| |
prop-ko:junSun
| |
prop-ko:location
| |
prop-ko:marHighC
| |
prop-ko:marHumidity
| |
prop-ko:marLowC
| |
prop-ko:marMeanC
| |
prop-ko:marPrecipitationDays
| |
prop-ko:marPrecipitationMm
| |
prop-ko:marRecordHighC
| |
prop-ko:marRecordLowC
| |
prop-ko:marSnowDays
| |
prop-ko:marSun
| |
prop-ko:mayHighC
| |
prop-ko:mayHumidity
| |
prop-ko:mayLowC
| |
prop-ko:mayMeanC
| |
prop-ko:mayPrecipitationDays
| |
prop-ko:mayPrecipitationMm
| |
prop-ko:mayRecordHighC
| |
prop-ko:mayRecordLowC
| |
prop-ko:maySnowDays
| |
prop-ko:maySun
| |
prop-ko:metricFirst
| |
prop-ko:novHighC
| |
prop-ko:novHumidity
| |
prop-ko:novLowC
| |
prop-ko:novMeanC
| |
prop-ko:novPrecipitationDays
| |
prop-ko:novPrecipitationMm
| |
prop-ko:novRecordHighC
| |
prop-ko:novRecordLowC
| |
prop-ko:novSnowDays
| |
prop-ko:novSun
| |
prop-ko:octHighC
| |
prop-ko:octHumidity
| |
prop-ko:octLowC
| |
prop-ko:octMeanC
| |
prop-ko:octPrecipitationDays
| |
prop-ko:octPrecipitationMm
| |
prop-ko:octRecordHighC
| |
prop-ko:octRecordLowC
| |
prop-ko:octSnowDays
| |
prop-ko:octSun
| |
prop-ko:sepHighC
| |
prop-ko:sepHumidity
| |
prop-ko:sepLowC
| |
prop-ko:sepMeanC
| |
prop-ko:sepPrecipitationDays
| |
prop-ko:sepPrecipitationMm
| |
prop-ko:sepRecordHighC
| |
prop-ko:sepRecordLowC
| |
prop-ko:sepSnowDays
| |
prop-ko:sepSun
| |
prop-ko:singleLine
| |
prop-ko:source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yearHighC
| |
prop-ko:yearHumidity
| |
prop-ko:yearLowC
| |
prop-ko:yearMeanC
| |
prop-ko:yearPrecipitationMm
| |
prop-ko:yearRecordHighC
| |
prop-ko:yearRecordLowC
| |
prop-ko:yearSnowDays
| |
prop-ko:경도도
| |
prop-ko:경도분
| |
prop-ko:경도초
| |
prop-ko:광역인구
| |
prop-ko:그림
|
- Registan - Samarkand - 15-10-2005.jpg
- Registan square2014.JPG
|
prop-ko:그림너비
| |
prop-ko:그림설명
| |
prop-ko:나라
| |
prop-ko:남북
| |
prop-ko:동서
| |
prop-ko:방언
| |
prop-ko:위도도
| |
prop-ko:위도분
| |
prop-ko:위도초
| |
prop-ko:위치지도
| |
prop-ko:위치지도너비
| |
prop-ko:이름
| |
prop-ko:인구
| |
prop-ko:인구년도
| |
prop-ko:정식표기
| |
prop-ko:지역
| |
prop-ko:한자
| |
prop-ko:해발
| |
prop-ko:행정구역
| |
prop-ko:휘장
|
- Coat of arms of Samarkand.svg
|
dcterms:subject
| |
georss:point
|
- 39.65416666666667 66.95972222222223
|
rdf:type
| |
rdfs:comment
|
- 사마르칸트(러시아어: Самарка́нд, 언어 오류(uz): Samarqand, Самарқанд, 아랍어: سمرقند, 페르시아어: سمرقند)는 중앙아시아 두번 째로 큰 우즈베키스탄의 고도이며, 사마르칸트 주의 주도이다. 소그드 어로 ‘돌 요새’ 또는 ‘바위 도시’라는 의미이며, 몽골어(Самарканд)로는 ‘밤 바위’ 또는 ‘딱딱한 바위’를 의미한다. 이곳이 가장 유명한 이유는 서역과 중국의 실크로드 중간에 위치한 지정학적 위치로 이슬람 연구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 14세기에 티무르 제국의 수도였으며, 구르아미르의 유적지이다. 비비하눔 사원 유적지는 이 도시의 가장 유명한 랜드마크 중 하나이다. 레지스탄은 고도의 중심지였다. 아무다리야 강의 지류인 제라프샨 강 하류에 있고, 기계·화학·면화·비단·피혁등의 공업이 발달해 있다. 인구 약 38만 명(2001년).
- 사마르칸트(러시아어: Самарка́нд, 언어 오류(uz): Samarqand, Самарқанд, 아랍어: سمرقند, 페르시아어: سمرقند)는 중앙아시아 두번째로 큰 우즈베키스탄의 고도이며, 사마르칸트 주의 주도이다. 소그드 어로 ‘돌 요새’ 또는 ‘바위 도시’라는 의미이며, 몽골어(Самарканд)로는 ‘밤 바위’ 또는 ‘딱딱한 바위’를 의미한다. 이곳이 가장 유명한 이유는 서역과 중국의 실크로드 중간에 위치한 지정학적 위치로 이슬람 연구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 14세기에 티무르 제국의 수도였으며, 구르아미르의 유적지이다. 비비하눔 사원 유적지는 이 도시의 가장 유명한 랜드마크 중 하나이다. 레지스탄은 고도의 중심지였다.아무다리야 강의 지류인 제라프샨 강 하류에 있고, 기계·화학·면화·비단·피혁등의 공업이 발달해 있다. 인구 약 38만 명(2001년).
|
rdfs:label
| |
owl:sameAs
| |
geo:lat
| |
geo:long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foaf:name
|
- 사마르칸트
- Samarkand
- Самарқанд
- سمرقند
|
is dbpedia-owl:birthPlace
of | |
is dbpedia-owl:capital
of | |
is dbpedia-owl:deathPlace
of | |
is dbpedia-owl:predecessor
of | |
is dbpedia-owl:restingPlace
of | |
is dbpedia-owl:successor
of |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prop-ko:매장지
of | |
is prop-ko:사망지
of | |
is prop-ko:수도
of | |
is prop-ko:재위
of | |
is prop-ko:전임자
of | |
is prop-ko:지역
of | |
is prop-ko:출생지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