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자(本字)는 정체자의 원래 자형을 지닌 한자 글자를 가리킨다.본디 정체자, 곧 정자(正字)는 전통적으로 써 오던 방식 그대로의 한자 글자를 가리킨다. 그러나 간혹 예외적으로 변형된 글자가 정체자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이때 과거에 쓰이던 정체자, 곧 점이나 획을 생략하거나 변경하지 않은 한자 글자를 본자라 부른다. 또한 한자를 쓰는 지역에 따라 본자로 취급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예컨대, 豊(풍년 풍, U+8C4A)이 정자이나 본자는 아닌데, 이 경우 본자는 豐(U+8C50)이다. 또한 敎(가르치다 교, U+654E)는 중화민국 등에서는 본자로, 教(가르치다 교, U+6559)를 정자로 취급하나, 대한민국에서는 敎(U+654E)를 정자 및 본자로 취급한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본자(本字)는 정체자의 원래 자형을 지닌 한자 글자를 가리킨다.본디 정체자, 곧 정자(正字)는 전통적으로 써 오던 방식 그대로의 한자 글자를 가리킨다. 그러나 간혹 예외적으로 변형된 글자가 정체자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이때 과거에 쓰이던 정체자, 곧 점이나 획을 생략하거나 변경하지 않은 한자 글자를 본자라 부른다. 또한 한자를 쓰는 지역에 따라 본자로 취급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예컨대, 豊(풍년 풍, U+8C4A)이 정자이나 본자는 아닌데, 이 경우 본자는 豐(U+8C50)이다. 또한 敎(가르치다 교, U+654E)는 중화민국 등에서는 본자로, 教(가르치다 교, U+6559)를 정자로 취급하나, 대한민국에서는 敎(U+654E)를 정자 및 본자로 취급한다.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dcterms:subject
| |
rdfs:comment
|
- 본자(本字)는 정체자의 원래 자형을 지닌 한자 글자를 가리킨다.본디 정체자, 곧 정자(正字)는 전통적으로 써 오던 방식 그대로의 한자 글자를 가리킨다. 그러나 간혹 예외적으로 변형된 글자가 정체자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이때 과거에 쓰이던 정체자, 곧 점이나 획을 생략하거나 변경하지 않은 한자 글자를 본자라 부른다. 또한 한자를 쓰는 지역에 따라 본자로 취급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예컨대, 豊(풍년 풍, U+8C4A)이 정자이나 본자는 아닌데, 이 경우 본자는 豐(U+8C50)이다. 또한 敎(가르치다 교, U+654E)는 중화민국 등에서는 본자로, 教(가르치다 교, U+6559)를 정자로 취급하나, 대한민국에서는 敎(U+654E)를 정자 및 본자로 취급한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