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edia-owl:abstract
|
- 박희도(朴熙道, 1889년 8월 11일 ~ 1952년 9월 25일)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기독교 목회자, 사상가였다. 일제 강점기의 개신교 계열 인물로 언론인과 목회자로 활동했다. 1919년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사람으로 33인 중 최연소자였다. 3.1 운동으로 투옥됐다가 풀려난 이후 자치론 경향으로 흘러가 민족개량주의 노선으로 기울다 1934년 전후로 친일파로 변절. 월간 잡지 '동광'(동양지광)의 창립인, 주간 사장으로 활동했다. 광복 이후 1948년 반민특위에 회부되었다가 1952년 병사했다. 그의 처숙모 주룰루는 초기 기독교 전도사의 한 사람이었고, 처사촌 김명신도 독립운동가였다.
- 박희도(朴熙道, 1889년 8월 11일 ~ 1952년 9월 25일)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기독교 목회자, 사상가였다. 일제 강점기의 개신교 계열 인물로 언론인과 목회자로 활동했다. 1919년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사람으로 이갑성과 함께 33인 중 최연소자였다. 3.1 운동으로 투옥됐다가 풀려난 이후 자치론 경향으로 흘러가 민족개량주의 노선으로 기울다 1934년 전후로 친일파로 변절. 월간 잡지 '동광'(동양지광)의 창립인, 주간 사장으로 활동했다. 광복 이후 1948년 반민특위에 회부되었다가 1952년 병사했다. 그의 처숙모 주룰루는 초기 기독교 전도사의 한 사람이었고, 처사촌 김명신도 독립운동가였다.
|
rdfs:comment
|
- 박희도(朴熙道, 1889년 8월 11일 ~ 1952년 9월 25일)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기독교 목회자, 사상가였다. 일제 강점기의 개신교 계열 인물로 언론인과 목회자로 활동했다. 1919년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사람으로 33인 중 최연소자였다. 3.1 운동으로 투옥됐다가 풀려난 이후 자치론 경향으로 흘러가 민족개량주의 노선으로 기울다 1934년 전후로 친일파로 변절. 월간 잡지 '동광'(동양지광)의 창립인, 주간 사장으로 활동했다. 광복 이후 1948년 반민특위에 회부되었다가 1952년 병사했다. 그의 처숙모 주룰루는 초기 기독교 전도사의 한 사람이었고, 처사촌 김명신도 독립운동가였다.
- 박희도(朴熙道, 1889년 8월 11일 ~ 1952년 9월 25일)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기독교 목회자, 사상가였다. 일제 강점기의 개신교 계열 인물로 언론인과 목회자로 활동했다. 1919년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사람으로 이갑성과 함께 33인 중 최연소자였다. 3.1 운동으로 투옥됐다가 풀려난 이후 자치론 경향으로 흘러가 민족개량주의 노선으로 기울다 1934년 전후로 친일파로 변절. 월간 잡지 '동광'(동양지광)의 창립인, 주간 사장으로 활동했다. 광복 이후 1948년 반민특위에 회부되었다가 1952년 병사했다. 그의 처숙모 주룰루는 초기 기독교 전도사의 한 사람이었고, 처사촌 김명신도 독립운동가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