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edia-owl:abstract
|
- 무왕(武王, 580년 ~ 641년 음력 3월,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다. 성은 부여(扶餘), 휘는 장(璋), 아명은 서동이다. 다른 이름은 무강(武康), 헌병(獻丙), 일기사덕(一耆篩德)이다. 법왕(法王)의 아들이나, 위덕왕의 서자 또는 손자라고도 한다.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무왕은 법왕의 아들이라 한다. 그런데 중국의 ‘북사’에는 무왕이 위덕왕의 아들이라는 기록이 나온다.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또다른 별칭은 무강왕(武康王), 무광왕(武廣王), 호왕(虎王)이다.
- 무왕(武王, 580년 ~ 641년 음력 3월,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다. 성은 부여(扶餘), 휘는 장(璋), 아명은 서동(薯童)이다. 다른 이름은 무강(武康), 헌병(獻丙), 일기사덕(一耆篩德)이다. 법왕(法王)의 아들이나, 위덕왕의 서자 또는 손자라고도 한다.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무왕은 법왕의 아들이라 한다. 그런데 중국의 ‘북사’에는 무왕이 위덕왕의 아들이라는 기록이 나온다.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또다른 별칭은 무강왕(武康王), 무광왕(武廣王), 호왕(虎王)이다.
|
rdfs:comment
|
- 무왕(武王, 580년 ~ 641년 음력 3월,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다. 성은 부여(扶餘), 휘는 장(璋), 아명은 서동이다. 다른 이름은 무강(武康), 헌병(獻丙), 일기사덕(一耆篩德)이다. 법왕(法王)의 아들이나, 위덕왕의 서자 또는 손자라고도 한다.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무왕은 법왕의 아들이라 한다. 그런데 중국의 ‘북사’에는 무왕이 위덕왕의 아들이라는 기록이 나온다.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또다른 별칭은 무강왕(武康王), 무광왕(武廣王), 호왕(虎王)이다.
- 무왕(武王, 580년 ~ 641년 음력 3월,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다. 성은 부여(扶餘), 휘는 장(璋), 아명은 서동(薯童)이다. 다른 이름은 무강(武康), 헌병(獻丙), 일기사덕(一耆篩德)이다. 법왕(法王)의 아들이나, 위덕왕의 서자 또는 손자라고도 한다.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무왕은 법왕의 아들이라 한다. 그런데 중국의 ‘북사’에는 무왕이 위덕왕의 아들이라는 기록이 나온다.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또다른 별칭은 무강왕(武康王), 무광왕(武廣王), 호왕(虎王)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