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대수(無量大數)란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수의 단위이다.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수의 단위 중 가장 그 값이 큰 단위이기도 하다. 무량대수는 시대와 사람에 따라 가리키는 값이 다르다. 일반적으로는 10의 68제곱(1068)을 가리키지만, 10의 88제곱(1088), 10의 128제곱(10128)을 가리키기도 한다. 일본의 진겁기(塵劫記)의 판을 거듭하면서 무량과 대수 사이의 흠집이 난 것을 무량과 대수로 나누고, 대수는 이 수보다 10000배 더 큰 10의 72제곱(1072)이라고 잘못 인식하게 되었으나 원래 같은 숫자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래 우리나라에서는 무량수(無量數)로 나타내었으나 일본식 명수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아래의 표에서 이만체진(以萬遞進), 이억체진(以億遞進)은 단위가 얼마마다 바뀌는지 나타낸 것으로 만 단위로 바뀌면 이만체진, 억 단위로 바뀌면 이억체진이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무량대수(無量大數)란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수의 단위이다.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수의 단위 중 가장 그 값이 큰 단위이기도 하다. 무량대수는 시대와 사람에 따라 가리키는 값이 다르다. 일반적으로는 10의 68제곱(1068)을 가리키지만, 10의 88제곱(1088), 10의 128제곱(10128)을 가리키기도 한다. 일본의 진겁기(塵劫記)의 판을 거듭하면서 무량과 대수 사이의 흠집이 난 것을 무량과 대수로 나누고, 대수는 이 수보다 10000배 더 큰 10의 72제곱(1072)이라고 잘못 인식하게 되었으나 원래 같은 숫자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래 우리나라에서는 무량수(無量數)로 나타내었으나 일본식 명수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아래의 표에서 이만체진(以萬遞進), 이억체진(以億遞進)은 단위가 얼마마다 바뀌는지 나타낸 것으로 만 단위로 바뀌면 이만체진, 억 단위로 바뀌면 이억체진이다.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2095 (xsd:integer)
- 5771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2404197 (xsd:integer)
- 13802073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dcterms:subject
| |
rdfs:comment
|
- 무량대수(無量大數)란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수의 단위이다.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수의 단위 중 가장 그 값이 큰 단위이기도 하다. 무량대수는 시대와 사람에 따라 가리키는 값이 다르다. 일반적으로는 10의 68제곱(1068)을 가리키지만, 10의 88제곱(1088), 10의 128제곱(10128)을 가리키기도 한다. 일본의 진겁기(塵劫記)의 판을 거듭하면서 무량과 대수 사이의 흠집이 난 것을 무량과 대수로 나누고, 대수는 이 수보다 10000배 더 큰 10의 72제곱(1072)이라고 잘못 인식하게 되었으나 원래 같은 숫자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래 우리나라에서는 무량수(無量數)로 나타내었으나 일본식 명수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아래의 표에서 이만체진(以萬遞進), 이억체진(以億遞進)은 단위가 얼마마다 바뀌는지 나타낸 것으로 만 단위로 바뀌면 이만체진, 억 단위로 바뀌면 이억체진이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