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내전 (Libyan civil war, الحرب الأهلية في ليبيا عام)은 2011년 2월 15일부터 발생한 북아프리카의 국가 리비아에서 무아마르 카다피의 지지 세력과 카다피에 반대하는 반 카다피 세력 간에 벌어진 무장 충돌이다. 리비아 혁명 (Libyan Revolution)으로도 불린다.이러한 상황은 2011년 2월 15일, 리비아를 42년 동안 통치해 온 강압적인 카다피 정권에 대한 일련의 평화적인 반정부 시위로 시작되었다. 반정부 시위의 물결은 리비아 전역으로 확대되며 봉기 수준으로 격화되었고, 반 카다피 세력은 벵가지에 카다피 세력의 축출, 민주적인 선거를 목표로 하는 국가과도위원회를 설립하였다.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초기에 카다피와 그의 측근 인사 열 명의 자산을 동결하고 여행을 제한하는 결의를 통과시켰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리비아 내전 (Libyan civil war, الحرب الأهلية في ليبيا عام)은 2011년 2월 15일부터 발생한 북아프리카의 국가 리비아에서 무아마르 카다피의 지지 세력과 카다피에 반대하는 반 카다피 세력 간에 벌어진 무장 충돌이다. 리비아 혁명 (Libyan Revolution)으로도 불린다.이러한 상황은 2011년 2월 15일, 리비아를 42년 동안 통치해 온 강압적인 카다피 정권에 대한 일련의 평화적인 반정부 시위로 시작되었다. 반정부 시위의 물결은 리비아 전역으로 확대되며 봉기 수준으로 격화되었고, 반 카다피 세력은 벵가지에 카다피 세력의 축출, 민주적인 선거를 목표로 하는 국가과도위원회를 설립하였다.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초기에 카다피와 그의 측근 인사 열 명의 자산을 동결하고 여행을 제한하는 결의를 통과시켰다. 이 결의에는 또한 카다피 정부가 벌인 행각에 대한 국제 형사 재판소의 조사가 언급되었으며, 이후 카다피 체포영장이 발부되었다.2011년 3월부터 본격적으로 전쟁 상태에 들어갔으며, 그 후 치열한 공방전이 전개되다가, 2011년 8월 반 카다피 세력이 수도 트리폴리를 장악하였고, 2011년 10월 카다피의 고향인 시르테를 공격하여 10월 20일에 그를 사살하였다.
|
dbpedia-owl:combatant
|
- *
- ----
- (국경 충돌)
- * 튀니지군
- * 리비아 인민해방군
- * 리비아군
- * 반카다피 부족
- * 외국 군사 조정자
- * 외국인 용병
- * 준군사조직
- * 친 카다피 부족
- ** 리비아 공군
- ** 리비아 육군
- ** 리비아 해군
- ** 자유 리비아 공군
- ;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
- 국제 연합 회원국이 결의한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973호:
- ; 대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국
- 기타 참여 국가...
- 반 카다피 세력
- 친 카다피 세력
- * 21px|border|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기 북대서양 조약 기구
- *
- ----
- (국경 충돌)
- * 튀니지군
- * 리비아 인민해방군
- * 리비아군
- * 반카다피 부족
- * 외국 군사 조정자
- * 외국인 용병
- * 준군사조직
- * 친 카다피 부족
- ** 리비아 공군
- ** 리비아 육군
- ** 리비아 해군
- ** 자유 리비아 공군
- ;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
- 국제 연합 회원국이 결의한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973호:
- ; 대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국
- 기타 참여 국가...
- 반 카다피 세력
- 친 카다피 세력
- * 21px|border|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기 북대서양 조약 기구
|
dbpedia-owl:commander
| |
dbpedia-owl:isPartOfMilitaryConflict
| |
dbpedia-owl:place
| |
dbpedia-owl:result
|
- 무아마르 카다피 사살,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의 승리, 내전 종료
- 무아마르 카다피 사살,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의 승리, 내전 종료
|
dbpedia-owl:strength
|
- B-2 스피릿 폭격기
- F-15E 전투기
- F-16 전투기
- F/A-18 전투기
- KC-135 공중급유기
- 보안군 10만명(일부는 반정부군으로 전향)
- 미코얀-구레비치 Mig-23 및 수호이-22 등 구소련제 항공기 300여대
- 근거리대공화기 490대
- 라팔 전투기
- 미라주 2000
- 민병대 15만명 등(시민군)
- 수단 용병 15000명
- 수륙양용공격함
- 수륙양용함정(나토군)
- 스텔스 구축함
- 조기경보기
- 지뢰제거선
- 탱크 800여대
- 토마호크 미사일
- 파나비어 토네이도 전투기
- 항공모함(샤를드골함 등)
- 핵잠수함
- 혁명수비대 15000명
- B-2 스피릿 폭격기
- F-15E 전투기
- F-16 전투기
- F/A-18 전투기
- KC-135 공중급유기
- 보안군 10만명(일부는 반정부군으로 전향)
- 미코얀-구레비치 Mig-23 및 수호이-22 등 구소련제 항공기 300여대
- 근거리대공화기 490대
- 라팔 전투기
- 미라주 2000
- 민병대 15만명 등(시민군)
- 수단 용병 15000명
- 수륙양용공격함
- 수륙양용함정(나토군)
- 스텔스 구축함
- 조기경보기
- 지뢰제거선
- 탱크 800여대
- 토마호크 미사일
- 파나비어 토네이도 전투기
- 항공모함(샤를드골함 등)
- 핵잠수함
- 혁명수비대 15000명
|
dbpedia-owl:wikiPageDisambiguates
| |
dbpedia-owl:wikiPageExternalLink
| |
dbpedia-owl:wikiPageID
|
- 610315 (xsd:integer)
- 1224581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InterLanguageLink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135 (xsd:integer)
- 22331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4 (xsd:integer)
- 215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2078098 (xsd:integer)
- 13741213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결과
| |
prop-ko:교전국
|
- 반 카다피 세력
;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
* 리비아 인민해방군
** 자유 리비아 공군
* 반카다피 부족
* 외국 군사 조정자
----
국제 연합 회원국이 결의한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973호:
* 21px|border|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기 북대서양 조약 기구
*
*
*
*
기타 참여 국가...
----
* 튀니지군
- 친 카다피 세력
; 대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국
* 리비아군
** 리비아 육군
** 리비아 공군
** 리비아 해군
* 준군사조직
* 친 카다피 부족
* 외국인 용병
|
prop-ko:그림
| |
prop-ko:그림크기
| |
prop-ko:날짜
| |
prop-ko:병력
|
- 조기경보기
- 항공모함
- 토마호크 미사일
- 미라주 2000
- 핵잠수함
- B-2 스피릿 폭격기
- F-15E 전투기
- F-16 전투기
- F/A-18 전투기
- KC-135 공중급유기
- 미코얀-구레비치 Mig-23 및 수호이-22 등 구소련제 항공기 300여대
- 근거리대공화기 490대
- 라팔 전투기
- 민병대 15만명 등
- 보안군 10만명
- 수단 용병 15000명
- 수륙양용공격함
- 수륙양용함정
- 스텔스 구축함
- 지뢰제거선
- 탱크 800여대
- 파나비어 토네이도 전투기
- 혁명수비대 15000명
|
prop-ko:분쟁
| |
prop-ko:사상자
| |
prop-ko:이유
| |
prop-ko:장소
| |
prop-ko:전체
| |
prop-ko:지휘관
|
- 21 (xsd:integer)
- 압둘 하산
----
21px|border|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기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 군사 지도자들:
- 나스르 알마브루크
- 라피 알샤리프
- 마디 알아라비
- 마디 알하라티
- 마무드 지브릴
- 마수드 압델하피드
- 만수르 다오
- 무사 이브라힘
- 무스타파 알카루비
- 무스타파 압둘 잘릴
- 무아마르 카다피 †
- 무하마드 아부 알콰심 알즈와이
- 바그다디 마흐무디
- 바시르 하와디
- 사이프 알이슬람 카다피
- 살리 라잡 알미스마리
- 술레이만 마무드
- 아부 오위이스
- 아부바크르 유니스 자브르 †
- 아부제드 오마르 도르다
- 아와드 함자
- 알리 샤리프 알리피
- 알리 카나
- 알무타심빌라 알카다피 †
- 알사디 알카다피
- 압둘 파타 유니스 †
- 압둘 하피즈 고가
- 압둘라 세누시
- 오마르 엘하리리
- 잘랄 알디게일리
- 카다피의 아들들:
- 카미스 알카다피 †
- 쿠일디 하미디
- 할리파 벨카심 하프타르
|
dcterms:subject
| |
rdf:type
| |
rdfs:comment
|
- 리비아 내전 (Libyan civil war, الحرب الأهلية في ليبيا عام)은 2011년 2월 15일부터 발생한 북아프리카의 국가 리비아에서 무아마르 카다피의 지지 세력과 카다피에 반대하는 반 카다피 세력 간에 벌어진 무장 충돌이다. 리비아 혁명 (Libyan Revolution)으로도 불린다.이러한 상황은 2011년 2월 15일, 리비아를 42년 동안 통치해 온 강압적인 카다피 정권에 대한 일련의 평화적인 반정부 시위로 시작되었다. 반정부 시위의 물결은 리비아 전역으로 확대되며 봉기 수준으로 격화되었고, 반 카다피 세력은 벵가지에 카다피 세력의 축출, 민주적인 선거를 목표로 하는 국가과도위원회를 설립하였다.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초기에 카다피와 그의 측근 인사 열 명의 자산을 동결하고 여행을 제한하는 결의를 통과시켰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foaf:name
| |
is dbpedia-owl:battle
of | |
is dbpedia-owl:isPartOfMilitaryConflict
of | |
is dbpedia-owl:usedInWar
of |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prop-ko:전쟁
of | |
is prop-ko:전체
of | |
is prop-ko:참전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