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승룡(南昇龍, 1912년 11월 23일 - 2001년 2월 20일)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동메달을 딴 육상 선수이다. 이때 그의 일본식 이름은 난 쇼류이다.순천에서 태어난 남승룡은 일본 메이지 대학을 졸업하였다. 1932년 전일본마라톤선수권과 1933년 극동선수권에서 잇달아 우승했으며, 일본건국기념 국제마라톤에서는 1934년과 35년 연거푸 1위를 차지했다. 그 후 올림픽 대표 선발전에서 손기정을 제치고 1위로 뽑혀 참가한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는 2시간 31분 42초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땄다. 로마자 표기는 이름을 일본식으로 읽은 난 쇼류(Nan Shoryu)를 사용했다. 당시 1위는 손기정이었다. 훗날 그는 손기정이 월계수로 일장기를 가릴 수 있다는 게 그가 금메달 딴 것보다 더욱 부러웠다고 했다. 그는 대한 육상 경기 연맹 이사를 지내고, 전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남승룡(南昇龍, 1912년 11월 23일 - 2001년 2월 20일)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동메달을 딴 육상 선수이다. 이때 그의 일본식 이름은 난 쇼류이다.순천에서 태어난 남승룡은 일본 메이지 대학을 졸업하였다. 1932년 전일본마라톤선수권과 1933년 극동선수권에서 잇달아 우승했으며, 일본건국기념 국제마라톤에서는 1934년과 35년 연거푸 1위를 차지했다. 그 후 올림픽 대표 선발전에서 손기정을 제치고 1위로 뽑혀 참가한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는 2시간 31분 42초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땄다. 로마자 표기는 이름을 일본식으로 읽은 난 쇼류(Nan Shoryu)를 사용했다. 당시 1위는 손기정이었다. 훗날 그는 손기정이 월계수로 일장기를 가릴 수 있다는 게 그가 금메달 딴 것보다 더욱 부러웠다고 했다. 그는 대한 육상 경기 연맹 이사를 지내고, 전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 남승룡(南昇龍, 1912년 11월 23일 - 2001년 2월 20일)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동메달을 딴 육상 선수이다. 이때 그의 일본식 이름은 난 쇼류이다.순천에서 태어난 남승룡은 일본 메이지 대학을 졸업하였다. 1932년 전일본마라톤선수권과 1933년 극동선수권에서 잇달아 우승했으며, 일본건국기념 국제마라톤에서는 1934년과 35년 연거푸 1위를 차지했다. 그 후 올림픽 대표 선발전에서 손기정을 제치고 1위로 뽑혀 참가한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는 2시간 31분 42초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땄다. 로마자 표기는 이름을 일본식으로 읽은 난 쇼류(Nan Shoryu)를 사용했다. 당시 1위는 손기정이었다. 훗날 그는 손기정이 월계수로 일장기를 가릴 수 있다는 게 그가 금메달 딴 것보다 더욱 부러웠다고 했다. 그는 대한 육상 경기 연맹 이사를 지내고, 전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
dbpedia-owl:award
| |
dbpedia-owl:birthPlace
| |
dbpedia-owl:education
| |
dbpedia-owl:occupation
| |
dbpedia-owl:wikiPageExternalLink
|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1881 (xsd:integer)
- 1893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2315679 (xsd:integer)
- 14238667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그림
|
- SR Nam.jpg
- Nam Sung-yong 1936.jpg
|
prop-ko:그림설명
| |
prop-ko:그림크기
|
- 150 (xsd:integer)
- 220 (xsd:integer)
|
prop-ko:상훈
| |
prop-ko:이름
| |
prop-ko:직업
| |
prop-ko:출생지
| |
prop-ko:학력
| |
dcterms:subject
| |
rdf:type
| |
rdfs:comment
|
- 남승룡(南昇龍, 1912년 11월 23일 - 2001년 2월 20일)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동메달을 딴 육상 선수이다. 이때 그의 일본식 이름은 난 쇼류이다.순천에서 태어난 남승룡은 일본 메이지 대학을 졸업하였다. 1932년 전일본마라톤선수권과 1933년 극동선수권에서 잇달아 우승했으며, 일본건국기념 국제마라톤에서는 1934년과 35년 연거푸 1위를 차지했다. 그 후 올림픽 대표 선발전에서 손기정을 제치고 1위로 뽑혀 참가한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는 2시간 31분 42초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땄다. 로마자 표기는 이름을 일본식으로 읽은 난 쇼류(Nan Shoryu)를 사용했다. 당시 1위는 손기정이었다. 훗날 그는 손기정이 월계수로 일장기를 가릴 수 있다는 게 그가 금메달 딴 것보다 더욱 부러웠다고 했다. 그는 대한 육상 경기 연맹 이사를 지내고, 전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 남승룡(南昇龍, 1912년 11월 23일 - 2001년 2월 20일)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동메달을 딴 육상 선수이다. 이때 그의 일본식 이름은 난 쇼류이다.순천에서 태어난 남승룡은 일본 메이지 대학을 졸업하였다. 1932년 전일본마라톤선수권과 1933년 극동선수권에서 잇달아 우승했으며, 일본건국기념 국제마라톤에서는 1934년과 35년 연거푸 1위를 차지했다. 그 후 올림픽 대표 선발전에서 손기정을 제치고 1위로 뽑혀 참가한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는 2시간 31분 42초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땄다. 로마자 표기는 이름을 일본식으로 읽은 난 쇼류(Nan Shoryu)를 사용했다. 당시 1위는 손기정이었다. 훗날 그는 손기정이 월계수로 일장기를 가릴 수 있다는 게 그가 금메달 딴 것보다 더욱 부러웠다고 했다. 그는 대한 육상 경기 연맹 이사를 지내고, 전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foaf:name
|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prop-ko:동메달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