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제 581 g는 천칭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20.5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 글리제 581 주위를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이다. 글리제 581 g는 글리제 581 주위를 도는 행성으로는 여섯 번째로 발견되었다. 릭-카네기 외계행성 서베이에서 글리제 581을 10년 넘게 관측한 끝에 2010년 9월 말 g의 존재를 발표했다. 진위 여부에 논란이 있다.연구 결과 g는 항성으로부터 너무 멀지도, 너무 가깝지도 않아 생명체가 살기에 꼭 알맞은 골디락스 영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행성으로, 인류가 최초로 발견한 "또 다른 지구"의 조건을 갖춘 행성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이 행성 표면이 딱딱한 돌로 이루어져 있다면 액체 상태의 물이 표면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글리제 581g의 질량은 지구의 3.1~4.3배로 슈퍼지구로 부를 수 있으며, 어머니 별을 37일 주기로 공전한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글리제 581 g는 천칭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20.5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 글리제 581 주위를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이다. 글리제 581 g는 글리제 581 주위를 도는 행성으로는 여섯 번째로 발견되었다. 릭-카네기 외계행성 서베이에서 글리제 581을 10년 넘게 관측한 끝에 2010년 9월 말 g의 존재를 발표했다. 진위 여부에 논란이 있다.연구 결과 g는 항성으로부터 너무 멀지도, 너무 가깝지도 않아 생명체가 살기에 꼭 알맞은 골디락스 영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행성으로, 인류가 최초로 발견한 "또 다른 지구"의 조건을 갖춘 행성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이 행성 표면이 딱딱한 돌로 이루어져 있다면 액체 상태의 물이 표면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글리제 581g의 질량은 지구의 3.1~4.3배로 슈퍼지구로 부를 수 있으며, 어머니 별을 37일 주기로 공전한다. 상대적으로 짧은 관측 시간만으로도 지구에서 이처럼 가까운 곳에서 골디락스 행성을 발견했다는 점으로 미루어, 천문학자들은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을 거느린 항성의 비율이 전체 중 10퍼센트보다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NASA의 제트 추진 연구소가 골디락스 행성을 찾는 케플러 계획을 전담하고 있다.
- 글리제 581 g는 천칭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20.5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 글리제 581 주위를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이다. 글리제 581 g는 글리제 581 주위를 도는 행성으로는 여섯 번째로 발견되었다. 릭-카네기 외계행성 서베이에서 글리제 581을 10년 넘게 관측한 끝에 2010년 9월 말 g의 존재를 발표했다. 진위 여부에 논란이 있다.연구 결과 g는 항성으로부터 너무 멀지도, 너무 가깝지도 않아 생명체가 살기에 꼭 알맞은 골디락스 영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행성으로, 인류가 최초로 발견한 "또 다른 지구"의 조건을 갖춘 행성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이 행성 표면이 딱딱한 돌로 이루어져 있다면 액체 상태의 물이 표면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글리제 581g의 질량은 지구의 3.1~4.3배로 슈퍼지구로 부를 수 있으며, 어머니 별을 37일 주기로 공전한다.상대적으로 짧은 관측 시간만으로도 지구에서 이처럼 가까운 곳에서 골디락스 행성을 발견했다는 점으로 미루어, 천문학자들은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을 거느린 항성의 비율이 전체 중 10퍼센트보다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NASA의 제트 추진 연구소가 골디락스 행성을 찾는 케플러 계획을 전담하고 있다.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4151 (xsd:integer)
- 4162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2192518 (xsd:integer)
- 14191970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거리
| |
prop-ko:공전주기
| |
prop-ko:그림
| |
prop-ko:그림설명
|
- 글리제 581 행성계의 궤도. 최외곽 f를 빼면 모든 행성의 궤도는 원에 가깝다.
|
prop-ko:발견방법
| |
prop-ko:발견일
| |
prop-ko:발견자
| |
prop-ko:발견지역
| |
prop-ko:별자리
| |
prop-ko:상태
| |
prop-ko:실시등급
| |
prop-ko:원기
| |
prop-ko:이름
| |
prop-ko:이심률
| |
prop-ko:질량
| |
prop-ko:평균거리
| |
prop-ko:항성
| |
dcterms:subject
| |
rdfs:comment
|
- 글리제 581 g는 천칭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20.5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 글리제 581 주위를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이다. 글리제 581 g는 글리제 581 주위를 도는 행성으로는 여섯 번째로 발견되었다. 릭-카네기 외계행성 서베이에서 글리제 581을 10년 넘게 관측한 끝에 2010년 9월 말 g의 존재를 발표했다. 진위 여부에 논란이 있다.연구 결과 g는 항성으로부터 너무 멀지도, 너무 가깝지도 않아 생명체가 살기에 꼭 알맞은 골디락스 영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행성으로, 인류가 최초로 발견한 "또 다른 지구"의 조건을 갖춘 행성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이 행성 표면이 딱딱한 돌로 이루어져 있다면 액체 상태의 물이 표면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글리제 581g의 질량은 지구의 3.1~4.3배로 슈퍼지구로 부를 수 있으며, 어머니 별을 37일 주기로 공전한다.
- 글리제 581 g는 천칭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20.5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 글리제 581 주위를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이다. 글리제 581 g는 글리제 581 주위를 도는 행성으로는 여섯 번째로 발견되었다. 릭-카네기 외계행성 서베이에서 글리제 581을 10년 넘게 관측한 끝에 2010년 9월 말 g의 존재를 발표했다. 진위 여부에 논란이 있다.연구 결과 g는 항성으로부터 너무 멀지도, 너무 가깝지도 않아 생명체가 살기에 꼭 알맞은 골디락스 영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행성으로, 인류가 최초로 발견한 "또 다른 지구"의 조건을 갖춘 행성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이 행성 표면이 딱딱한 돌로 이루어져 있다면 액체 상태의 물이 표면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