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무(光武)는 1897년 8월 17일부터 1907년 8월 11일까지 사용한, 조선의 세 번째 연호이자, 대한제국의 첫 번째 연호이다. 조선의 급진개화파(개화당) 세력은 을미사변(1895) 이후 갑오개혁(1894)때 만들어진 내정개혁안을 추진, 1895년 11월부터 양력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특히 음력 1895년 11월 17일을 양력 1896년 1월 1일로 정하고, 연호를 "건양(建陽)"이라 하였다.그 후 1897년에 의정부 의정대신 심순택의 주청을 받아들여 8월 14일에 "광무"라는 새로운 연호를 정하고, 8월 17일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 뒤 고종은 같은 해 10월 12일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고 이튿날(10월 13일) 정식으로 대한제국을 선포하였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광무(光武)는 1897년 8월 17일부터 1907년 8월 11일까지 사용한, 조선의 세 번째 연호이자, 대한제국의 첫 번째 연호이다. 조선의 급진개화파(개화당) 세력은 을미사변(1895) 이후 갑오개혁(1894)때 만들어진 내정개혁안을 추진, 1895년 11월부터 양력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특히 음력 1895년 11월 17일을 양력 1896년 1월 1일로 정하고, 연호를 "건양(建陽)"이라 하였다.그 후 1897년에 의정부 의정대신 심순택의 주청을 받아들여 8월 14일에 "광무"라는 새로운 연호를 정하고, 8월 17일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 뒤 고종은 같은 해 10월 12일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고 이튿날(10월 13일) 정식으로 대한제국을 선포하였다.
- 광무(光武)는 1897년 8월 17일부터 1907년 8월 11일까지 대한제국 고종 때에 사용한, 대한제국의 첫 번째 연호이다. 조선의 급진개화파(개화당) 세력은 을미사변(1895) 이후 갑오개혁(1894)때 만들어진 내정개혁안을 추진, 1895년 11월부터 양력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특히 음력 1895년 11월 17일을 양력 1896년 1월 1일로 정하고, 연호를 "건양(建陽)"이라 하였다.그 후 1897년에 의정부 의정대신 심순택의 주청을 받아들여 8월 14일에 "광무"라는 새로운 연호를 정하고, 8월 17일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 뒤 고종은 같은 해 10월 12일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고 이튿날(10월 13일) 정식으로 대한제국을 선포하였다.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63 (xsd:integer)
- 64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2291473 (xsd:integer)
- 13092402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timeline
|
- ImageSize = width:200 height:50
PlotArea = width:180 height:30 left:10 bottom:20
TimeAxis = orientation:horizontal
DateFormat = yyyy
Period = from:1897 till:1910
AlignBars = early
ScaleMajor = increment:13 start:1897
Colors =
id:canvas value:rgb
BackgroundColors = canvas:canvas
PlotData =
width:12 color:black
bar:era from:start till:end
bar:era from:1897 till:1907 color:red
bar:era from:1897 till:1907 color:yellow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국가
| |
prop-ko:군주
| |
prop-ko:사용기간
| |
prop-ko:설명
| |
prop-ko:연호
| |
dcterms:subject
| |
rdfs:comment
|
- 광무(光武)는 1897년 8월 17일부터 1907년 8월 11일까지 사용한, 조선의 세 번째 연호이자, 대한제국의 첫 번째 연호이다. 조선의 급진개화파(개화당) 세력은 을미사변(1895) 이후 갑오개혁(1894)때 만들어진 내정개혁안을 추진, 1895년 11월부터 양력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특히 음력 1895년 11월 17일을 양력 1896년 1월 1일로 정하고, 연호를 "건양(建陽)"이라 하였다.그 후 1897년에 의정부 의정대신 심순택의 주청을 받아들여 8월 14일에 "광무"라는 새로운 연호를 정하고, 8월 17일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 뒤 고종은 같은 해 10월 12일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고 이튿날(10월 13일) 정식으로 대한제국을 선포하였다.
- 광무(光武)는 1897년 8월 17일부터 1907년 8월 11일까지 대한제국 고종 때에 사용한, 대한제국의 첫 번째 연호이다. 조선의 급진개화파(개화당) 세력은 을미사변(1895) 이후 갑오개혁(1894)때 만들어진 내정개혁안을 추진, 1895년 11월부터 양력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특히 음력 1895년 11월 17일을 양력 1896년 1월 1일로 정하고, 연호를 "건양(建陽)"이라 하였다.그 후 1897년에 의정부 의정대신 심순택의 주청을 받아들여 8월 14일에 "광무"라는 새로운 연호를 정하고, 8월 17일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 뒤 고종은 같은 해 10월 12일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고 이튿날(10월 13일) 정식으로 대한제국을 선포하였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is dbpedia-owl:wikiPageDisambiguate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prop-ko:연호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