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표준어: 기역, 문화어: 기윽)은 한글의 닿소리 중 첫째 글자이다.현대 한국어의 연구개 파열음을 나타내며, 낱말 처음에 올 경우 무성[ k⁽ʰ⁾ ], 홀소리와 홀소리 사이혹은 유성 자음 앞뒤에서는 유성[ ɡ ]이 되며, 어말이나 다른 닿소리 앞에 오면 연구개 불파음[ k ̚ ]이 된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ㄱ이 나타내는 소리는 어금닛소리이며, 소리가 만들어질 때의 혀 모습을 왼쪽에서 바라본 모양을 본따서 만들어졌다.훈몽자회에서 기역(其役)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니은’, ‘리을’과 같은 이름을 쓰지 않은 것은 한자에 ‘윽’ 자가 없기 때문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ㄱ을 ‘기윽’으로 부른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ㄱ(표준어: 기역, 문화어: 기윽)은 한글의 닿소리 중 첫째 글자이다.현대 한국어의 연구개 파열음을 나타내며, 낱말 처음에 올 경우 무성[ k⁽ʰ⁾ ], 홀소리와 홀소리 사이혹은 유성 자음 앞뒤에서는 유성[ ɡ ]이 되며, 어말이나 다른 닿소리 앞에 오면 연구개 불파음[ k ̚ ]이 된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ㄱ이 나타내는 소리는 어금닛소리이며, 소리가 만들어질 때의 혀 모습을 왼쪽에서 바라본 모양을 본따서 만들어졌다.훈몽자회에서 기역(其役)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니은’, ‘리을’과 같은 이름을 쓰지 않은 것은 한자에 ‘윽’ 자가 없기 때문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ㄱ을 ‘기윽’으로 부른다.
- ㄱ(표준어: 기역, 문화어: 기윽)은 한글의 닿소리 중 첫째 글자이다.현대 한국어의 연구개 파열음을 나타내며, 낱말 처음에 올 경우 무성[ k⁽ʰ⁾ ], 홀소리와 홀소리 사이혹은 유성 자음 앞뒤에서는 유성[ ɡ ]이 되며, 어말이나 다른 닿소리 앞에 오면 연구개 불파음[ k ̚ ]이 된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ㄱ이 나타내는 소리는 어금닛소리이며, 소리가 만들어질 때의 혀 모습을 왼쪽에서 바라본 모양을 본따서 만들어졌다.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1209 (xsd:integer)
- 1529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31 (xsd:integer)
- 34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12312664 (xsd:integer)
- 13978040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끝소리
| |
prop-ko:끝소리Html
| |
prop-ko:끝소리코드
| |
prop-ko:닿소리
| |
prop-ko:닿소리Html
| |
prop-ko:닿소리코드
| |
prop-ko:반각
| |
prop-ko:반각Html
| |
prop-ko:반각코드
| |
prop-ko:첫소리
| |
prop-ko:첫소리Html
| |
prop-ko:첫소리코드
| |
prop-ko:한양끝
| |
prop-ko:한양끝Html
| |
prop-ko:한양끝코드
| |
prop-ko:한양첫
| |
prop-ko:한양첫Html
| |
prop-ko:한양첫코드
| |
dcterms:subject
| |
rdfs:comment
|
- ㄱ(표준어: 기역, 문화어: 기윽)은 한글의 닿소리 중 첫째 글자이다.현대 한국어의 연구개 파열음을 나타내며, 낱말 처음에 올 경우 무성[ k⁽ʰ⁾ ], 홀소리와 홀소리 사이혹은 유성 자음 앞뒤에서는 유성[ ɡ ]이 되며, 어말이나 다른 닿소리 앞에 오면 연구개 불파음[ k ̚ ]이 된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ㄱ이 나타내는 소리는 어금닛소리이며, 소리가 만들어질 때의 혀 모습을 왼쪽에서 바라본 모양을 본따서 만들어졌다.훈몽자회에서 기역(其役)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니은’, ‘리을’과 같은 이름을 쓰지 않은 것은 한자에 ‘윽’ 자가 없기 때문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ㄱ을 ‘기윽’으로 부른다.
- ㄱ(표준어: 기역, 문화어: 기윽)은 한글의 닿소리 중 첫째 글자이다.현대 한국어의 연구개 파열음을 나타내며, 낱말 처음에 올 경우 무성[ k⁽ʰ⁾ ], 홀소리와 홀소리 사이혹은 유성 자음 앞뒤에서는 유성[ ɡ ]이 되며, 어말이나 다른 닿소리 앞에 오면 연구개 불파음[ k ̚ ]이 된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ㄱ이 나타내는 소리는 어금닛소리이며, 소리가 만들어질 때의 혀 모습을 왼쪽에서 바라본 모양을 본따서 만들어졌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