あ와 ア는 일본어 음절의 하나로, 가나의 첫 글자이다. 1음절 1모라를 형성한다. 오십음도에 따르면 あ행 ア단에 위치한다.현대 표준어의 발음 : 일본어 모음 체계의 근간이 되는 5개 중의 하나이다. 입을 크게 벌려 발음하는 모음이다.국제 음성 기호(IPA)에서는 평순 전설 저모음 [a]와 평순 후설 저모음 [ɑ]의 중간 소리로(좀 더 정확히 설명하면, [ɑ]에 조금 더 가깝다), 음성학에서 상세히 기록할 때는 [a̟] 또는 [ɑ̠]로 나타낸다. 간략하게는 [a]로 나타내는 게 일반적이며, 음운론적으로도 [a]로 나타내는 게 일반적이다. 오십음 순 : 제1위. 이로하 순 : 제36위. (이전은 て, 다음은 さ.) 아메츠치 순: 제1위. ('め’의 앞.) 히라가나 'あ'의 자형 : '安'의 초서. 가타카나 'ア'의 자형 : '阿'의 변 阝의 변형.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あ와 ア는 일본어 음절의 하나로, 가나의 첫 글자이다. 1음절 1모라를 형성한다. 오십음도에 따르면 あ행 ア단에 위치한다.현대 표준어의 발음 : 일본어 모음 체계의 근간이 되는 5개 중의 하나이다. 입을 크게 벌려 발음하는 모음이다.국제 음성 기호(IPA)에서는 평순 전설 저모음 [a]와 평순 후설 저모음 [ɑ]의 중간 소리로(좀 더 정확히 설명하면, [ɑ]에 조금 더 가깝다), 음성학에서 상세히 기록할 때는 [a̟] 또는 [ɑ̠]로 나타낸다. 간략하게는 [a]로 나타내는 게 일반적이며, 음운론적으로도 [a]로 나타내는 게 일반적이다. 오십음 순 : 제1위. 이로하 순 : 제36위. (이전은 て, 다음은 さ.) 아메츠치 순: 제1위. ('め’의 앞.) 히라가나 'あ'의 자형 : '安'의 초서. 가타카나 'ア'의 자형 : '阿'의 변 阝의 변형. 로마자 표기법 : a 대한민국의 외래어 표기법 : '아' 한/글의 한글 입력 : 아(あ), ㅏ(ぁ) 일본어 점자 : 6점 점자 (1) 일본어 통화표 : '朝日のア'(아사히노 아, 아침해의 아) 일본어 모스 부호 : --·--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41 (xsd:integer)
- 46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dcterms:subject
| |
rdfs:comment
|
- あ와 ア는 일본어 음절의 하나로, 가나의 첫 글자이다. 1음절 1모라를 형성한다. 오십음도에 따르면 あ행 ア단에 위치한다.현대 표준어의 발음 : 일본어 모음 체계의 근간이 되는 5개 중의 하나이다. 입을 크게 벌려 발음하는 모음이다.국제 음성 기호(IPA)에서는 평순 전설 저모음 [a]와 평순 후설 저모음 [ɑ]의 중간 소리로(좀 더 정확히 설명하면, [ɑ]에 조금 더 가깝다), 음성학에서 상세히 기록할 때는 [a̟] 또는 [ɑ̠]로 나타낸다. 간략하게는 [a]로 나타내는 게 일반적이며, 음운론적으로도 [a]로 나타내는 게 일반적이다. 오십음 순 : 제1위. 이로하 순 : 제36위. (이전은 て, 다음은 さ.) 아메츠치 순: 제1위. ('め’의 앞.) 히라가나 'あ'의 자형 : '安'의 초서. 가타카나 'ア'의 자형 : '阿'의 변 阝의 변형.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