ᅄ과 ᅋ은 1900년대에서 1930년대까지 한국에서 쓰인, 각각 [v]와 [f] 소리를 적기 위해 만들어진 이중자이다.[v]와 [f]를 ㅂ, ㅍ으로 적는 기록도 있었지만, 지석영의 《아학편》(1908)이나 이종극의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 등에는 [v]와 [b], [f]와 [p]를 구분하기 위해 ㅇ을 붙여서 표기했다.
Property | Value |
dbpedia-owl:abstract
|
- ᅄ과 ᅋ은 1900년대에서 1930년대까지 한국에서 쓰인, 각각 [v]와 [f] 소리를 적기 위해 만들어진 이중자이다.[v]와 [f]를 ㅂ, ㅍ으로 적는 기록도 있었지만, 지석영의 《아학편》(1908)이나 이종극의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 등에는 [v]와 [b], [f]와 [p]를 구분하기 위해 ㅇ을 붙여서 표기했다.
- ᅄ과 ᅋ은 1900년대에서 1930년대까지 한국에서 쓰인, 각각 [v]와 [f] 소리를 적기 위해 만들어진 이중자이다.[v]와 [f]를 ㅂ, ㅍ으로 적는 기록도 있었지만, 지석영의 《아학편》(1908)이나 이종극의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 등에는 [v]와 [b], [f]와 [p]를 구분하기 위해 ㅇ을 붙여서 표기했다. 1948년 제정된 외래어 표기법인 들온말 적는 법에서는 각각 [v]와 [f]의 발음을 표기하는 데에 쓰였다.한편 《청어노걸대》의 경우 만주어의 [f]발음을 ㅍ으로 적고 있다.
|
dbpedia-owl:wikiPageExternalLink
| |
dbpedia-owl:wikiPageID
| |
dbpedia-owl:wikiPageLength
|
- 659 (xsd:integer)
- 856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OutDegree
|
- 1 (xsd:integer)
- 4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RevisionID
|
- 2663878 (xsd:integer)
- 14728888 (xsd:integer)
|
dbpedia-owl:wikiPageWikiLink
| |
prop-ko:wikiPageUsesTemplate
| |
prop-ko:첫소리
| |
prop-ko:첫소리Html
| |
prop-ko:첫소리코드
| |
prop-ko:한양첫
| |
prop-ko:한양첫Html
|
- 
- 
|
prop-ko:한양첫코드
| |
dcterms:subject
| |
rdfs:comment
|
- ᅄ과 ᅋ은 1900년대에서 1930년대까지 한국에서 쓰인, 각각 [v]와 [f] 소리를 적기 위해 만들어진 이중자이다.[v]와 [f]를 ㅂ, ㅍ으로 적는 기록도 있었지만, 지석영의 《아학편》(1908)이나 이종극의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 등에는 [v]와 [b], [f]와 [p]를 구분하기 위해 ㅇ을 붙여서 표기했다.
- ᅄ과 ᅋ은 1900년대에서 1930년대까지 한국에서 쓰인, 각각 [v]와 [f] 소리를 적기 위해 만들어진 이중자이다.[v]와 [f]를 ㅂ, ㅍ으로 적는 기록도 있었지만, 지석영의 《아학편》(1908)이나 이종극의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 등에는 [v]와 [b], [f]와 [p]를 구분하기 위해 ㅇ을 붙여서 표기했다. 1948년 제정된 외래어 표기법인 들온말 적는 법에서는 각각 [v]와 [f]의 발음을 표기하는 데에 쓰였다.한편 《청어노걸대》의 경우 만주어의 [f]발음을 ㅍ으로 적고 있다.
|
rdfs:label
| |
owl:sameAs
|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 |
foaf:isPrimaryTopicOf
| |
is dbpedia-owl:wikiPageRedirects
of | |
is dbpedia-owl:wikiPageWikiLink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